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이용수 58
- 영문명
-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sensitivity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아 최정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4호, 67~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 수준을 파악하고 두 변수 간의 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은 5점 척도에서 각각 3.63점과 3.56점으로 선행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인식은 다문화 관련 자원봉사 경험이 있거나, 외국인 환자를 돌보거나 간호한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문화적 민감성은 종교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인 환자를 돌보거나 간호한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문화적 지식 습득, 문화적 독특성 수용으로 다문화 인식을 설명 44.2%한다. 대상자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다양성에 대한 개방성, 다문화에 대한 민감성과 차별성, 외국인환자 간호경험, 종교로서 문화적 민감성을 30.7% 설명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MA) and cultural sensitivity(C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nvolved 361 third and forth-grade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MA and C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MA and C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hown to have moderate levels(MA : M=3.63, SD=0.48; CS : M=3.56, SD=0.47). The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aring foreign patie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MA and C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 and CS(r=.532,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MA were acquisition of cultural knowledge and acceptance of cultural uniqueness. The factors influencing CS were receptivity to multiculture, multicultural openness, multicultural sensitivity/distinction, experience of caring foreign patients, and the relig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multicultural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have to be provided to enhance MA and 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의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영향 요인 탐색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초등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RTSE)에 대한 타당도 기초연구: Gay의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