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영향 요인 탐색
이용수 122
- 영문명
- Factor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informed career decision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송효준 이전이 차윤경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4호, 45~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 희망 진학계열 및 진학전공에 대한 정보,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을 가지고 잠정적으로 미래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린 청소년이 획득한 진로정보의 양을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이라고 정의하고,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청소년이 진로결정 시 충분한 진로정보에 근거한 진로결정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의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1차년도 자료(2004년)와 중학교 3학년 코호트 4차년도 자료(2007년) 가운데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자기탐색 수준이 높고, 자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학교 내 진로지도 활동에도 다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청소년들 간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마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informed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Data for the study came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whereby we analyzed extensive information on career decisions among 18 year-old student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s who made well-informed decisions about their career paths despite low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have participated in school-based career exploration programs, had a sound understanding of their own career aptitudes, and received positive attention and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is result provides educators and social workers with useful evidence so that they can help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have adequate opportunities for well-informed career explo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용을 넘어 정의로: 데리다의 ‘환대’(hospitality)의 철학에 비추어 본 다문화 사회
- <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 > 영화읽기 수업의 교사 내러티브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민감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의 진로결정 시 진로정보 획득수준 영향 요인 탐색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초등교사의 문화반응교수 자아효능감(CRTSE)에 대한 타당도 기초연구: Gay의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