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이용수 67

영문명
A Subjective Perception Study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Art Therapy Experiences: Q Methodological Approach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박이영 김영숙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191~121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이를 유형화하여 그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Q방법론을 적용한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경험한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과 문헌 조사를 통해 Q모집단을 구성하여 총 33개의 Q표본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미술치료 경험이 있는 다문화 청소년 27명을 대상으로 Q표본 진술문을 Q표본 분포도에 중요도 순으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한 주요인 분석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유형이 4가지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활동중심적 ‘에너지 창조형’으로, 제2유형은 정서중심적 ‘내 마음 표출형’, 제3유형은 경험중심적 ‘미술 매체 만족형’, 마지막 제4유형은 수동중심적 ‘소극적 참여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연구대상과 지역적 한계점이 있으나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을 이해하여 미술치료 참여 촉진방안 및 질적 향상에 기초자료가 되는 데 의미가 있으므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y categorizing it bas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which applied the Q methodology, organized the Q population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s for them and selected 33 Q sample statements. For 27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art therapy experience, Q sample statements were plac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the Q sample distribution chart. As a result of the main factor analysis by the QUANL program, the art therapy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 was an activity oriented “Energy creation type,” the second type was an emotion-oriented “My heart expression type,” the third type was an experience oriented “Art media satisfaction type,” and the last type 4 appeared as passive centered “Passive participation type.” This study was meaningful that it served as basic data for promoting art therapy participat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through understanding the recognition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art therapy experience, although there were limitations in the study subject and region due to COVID-19.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이영,김영숙. (2023).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미술치료연구, 30 (4), 1191-1212

MLA

박이영,김영숙.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미술치료연구, 30.4(2023): 1191-1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