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이용수 87

영문명
An Ontological Autobiographical Study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about Self-growth in Terms of an Analytic Psychological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보경 전순영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149~1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Jung의 분석심리학적 이론과 꿈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내적 치유와 성찰을 통한 주체적 존재로서의 자기성장 경험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삶의 본질과 존재론적 의미를 되새기고, 중년의 개성화 과정을 통한, 보다 조화롭고 성숙한 인격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자전적 탐구의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연구자가 수집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과정에 관한 미술치료 수업에서의 그림과 개인미술치료 작품, 자전적 저널, 2019년 9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약 6개월의 꿈 분석과 꿈을 상징화한 미술작품 등의 자료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미술치료사로서 자기성장의 과정은 자기의 탐구의미와 심리적 분석과정을 단계적으로 다루어, 내면의 미해결된 갈등과 상처, 감정에 대한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게 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사로서의 자기성장 과정에서 Jung의 분석심리학적 꿈 분석과 미술치료 접근은 Jung의 개성화 과정에 맞추어 중년의 위기를 통한 내적 갈등의 수용과 본래의 자기 모습을 찾아 참다운 자신으로 살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back on the researcher's own life based on Jung's analytical psychological theory and dream analysis and to gain the experience of self-growth as a subjective being through internal healing and reflection. In reflecting on the essence of life and ontological meaning,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journey to a more harmonious and mature personality through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in the middle age by an autobiographical inquir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March 2018 to February 2020, such as paintings, personal art therapy artworks, autobiographical journals, and artworks symbolizing dreams for six months from September 2019 to February 2020, in the art therapy classes their self-growth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n art therapist, the process of self-growth dealed with the meaning of self-exploration and psychological analysis step by step, allowing them to experience healing and recovery of unresolved conflicts, wounds, and emotions inside. Second, in the process of self-growth as an art therapist, Jung's analytical psychological dream analysis and art therapy approach played a role in accepting internal conflicts through the crisis of middle age in accordance with Jung's individuation process and finding his original self and leading the therapist to live as a true self.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경,전순영. (2023).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미술치료연구, 30 (4), 1149-1170

MLA

김보경,전순영.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미술치료연구, 30.4(2023): 1149-1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