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연구 - 석사학위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Clinical Experience Research on the Art Therapy of Novice Art Therapists - Focusing on Clinical Experiences within Three Years of Obtaining a Master's Degree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조진선 김태은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019~10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상학적 체험연구로, 초보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임상현장 체험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 전공 석사학위 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현장 경험을 가진 초보 미술치료사 7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2022년 9월~10월 두 달간 비대면 방식의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내용을 Colaizzi의 현상학적 기술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4개의 소주제를 유목화하여 대주제 5개가 도출되었다. 연구에서 파악한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의 의미구조는 ‘초보 미술치료사로 겪는 임상현장의 난관’, ‘부족함과 어려움을 마주함’, ‘교육과 점검의 필요성 절감’, ‘미술치료에 대한 확신 재경험’, ‘내․외적 동기와 힘 발견’, ‘미술치료사로 존재하게 하는 힘’이라는 여섯 가지 의미가 서로 연결되는 관계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임상현장 체험이 순환적인 나선형 구조를 보이며 각 요소가 개별적인 것이 아닌 역동적인 흐름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phenomenological experiential research that aimed to understand the clinical experiences of novice art therapists and explored their significance. To achieve this purpose, seven novice art therapists with clinical experience within three years of obtaining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an online method from September 2022 to October 2022,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descriptive method. The analysis identiified five major themes from 14 organized sub-themes. The identifie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this study revealed in six interconnected dimensions: “Challenges faced by novice art therapists in their clinical setting,” “Confronting inadequacy and difficulties,” “Reduced need for education and supervision,” “Re-experiencing confidence in art therapy,” “Discovering inner and external motivation and strength,” and “The power that enables them to exist as an art therapist.” Throughout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clinical experience had a cyclical spiral structure, where each element was dynamically interconnected rather than being individualistic.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 초보미술치료사의 과거 작품과 현재 반응작업을 통한 알아차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PERMA기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후기 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 OSP(Open Studio Process)를 활용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작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연구 - 석사학위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