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Inquiry on Parenting Experienc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an Art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안은빈 김갑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995~10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서․행동문제로 미술치료를 받은 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생생하게 탐색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를 받은 아동의 어머니 6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와 인터뷰 내용을 전사한 축어록, 그림과 사진 등이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질적 분석단계에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은 자녀의 유․아동기 시절에 어머니 역할을 하면서 자녀에게 무한한 애정을 쏟았고, 그 애정은 어머니에게 한 인간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주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자녀의 미술치료 어머니 상담을 통해 막연하게 지각하고 있던 자신의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는 양육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냈고, 그것은 곧 아이의 변화로도 이어졌다. 셋째, 참여자들은 아동의 미술치료에서 어머니 상담을 통해 자신과 아이에 대한 이해와 조망이 더욱 확장되었고, 아이와의‘참 만남’을 통해 양육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었다. 넷째, 참여자들의 미술 작업은 연구자의 공감적 촉진을 통한 참여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참여자는 안전하게 자신을 개방하며, 자신의 갈등을 다룰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arenting exper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an art therapy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mothers of children who had art therapy, and interviews, their contents, paintings, and photos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according to Giorgi's analysis stag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participants gave affection to their children while playing the role of a mother, which allowed them to grow as humans. Second, recognizing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at was vaguely perceived through counseling, it gave positive changes in parenting and led to changes in children.
Third, through mother counseling, the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n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further expanded, and the value of parenting was discovered. Fourth, the therapist safely opened his mind and could overcome his conflicts through creating artwork. Based on this content,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 초보미술치료사의 과거 작품과 현재 반응작업을 통한 알아차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PERMA기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후기 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 OSP(Open Studio Process)를 활용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작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연구 - 석사학위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