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57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n the Resonance Experience of Three Fellow Art Therapists in Creating Non-Face-to-Face Artwork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은희 성미애 정은영 최선남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041~10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1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료미술치료사 3인이 비대면 미술작업을 통해 경험하는 공명이 앞으로 미술치료사로 그들이 나아갈 길에 어떠한 의미였는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공동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A, B, C는 2022년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간 20회의 만남을 통해 비대면 미술작업을 진행하였고, 각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미술작업과 비구조화된 대화, 저널, 인터뷰를 통해 현장텍스트를 수집하였다. 각 연구자는 자신이 경험한 미술작업에 대한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서로의 내러티브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텍스트를 발견해 내었다. 그 결과 동료와 함께한 비대면 미술작업은 공명을 통해 첫째, 안전한 공간을 형성하여 자기이해 및 자기돌봄을 촉진하였다. 둘째 이미지로 애응지물(핵심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기 존재를 드러내도록 도왔다. 셋째, 미술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의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참만남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해 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이 향후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나아갈 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미술치료 학문에 기여하였으며, 비대면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 narrative inquiry about the resonance experience by three art therapists through creating non-face-to-face artworks and examined a meaning for their future as an art therapist. A, B, and C therapist as co-researchers and inquiry participants conducted creating non-face-to-face artworks through 20 meetings for 5 months from January 2022 to May 2022, and field texts were collected from their daily unstructured conversations, journal, and interviews. Each therapist found the inquiry text through constructing narratives about their artworks they experienced and reviewing and analyzing each other's narrative. As a result, first non-face-to-face artworks of the participants facilitated self-understanding and self-care by forming a safe space with resonance. Second, it helped them reveal their existenc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core feelings with images. Third,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therapists and the client was formed and the professionalism that led to true encounter was secur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study of art therapy in that it suggested a way for art therapists to move forward in creating non-face-to-face artworks in the future and would be expected to use data for non-face-to-face art therapy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희,성미애,정은영,최선남. (2023).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0 (4), 1041-1067

MLA

김은희,성미애,정은영,최선남.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0.4(2023): 1041-10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