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ERMA기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후기 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4
- 영문명
- The Effect of a PERMA-Based Non-Face-to-Face Happiness Promotion Group Art Therapy for Middle-Aged wom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서민경 공마리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097~11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0세∼65세의 중년 후기 여성의 PERMA 기반 비대면 행복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등에 거주하는 만 50∼65세의 중년 후기 여성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는 PERMA기반 비대면 행복증진 집단미술치료를 주 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PANAS 척도, 삶의 만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혼합연구 설계법을 적용하였는데 양적분석은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를, 중년후기 여성의 행복감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집단별 측정 시점에 따른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및 시기별 단순 주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질적분석은 Prochaska와 DiClemente(1983)가 개발한 초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활용하여 변화과정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중년후기 여성들의 행복감이 증진되었으며, 실험집단원들은 전 인식단계, 인식단계, 준비단계, 행동단계 및 유지단계를 거치면서 현재와 미래의 삶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위한 노력과 의지를 통해 행복을 느끼게 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MA based non-face-to-face happiness promotion art therapy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wenty middle-aged women aged 50 to 65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led and experimental groups. After dividing those into two groups of ten, 10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nducted once a week. The SWLS, PANAS and PWB scale were used for measuring. A mixed research design method was applied, a T-test was adop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changes in happiness, and an arithmetic main effectiveness verification per group
and per period was condu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After qualitative analysis by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observe the change of the process, the SWB and PWB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revealed their improved happiness. The group showed that they felt happy through efforts and willingness to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present and future lives through the pre-recognition, recognition, preparation, action, and maintenance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 초보미술치료사의 과거 작품과 현재 반응작업을 통한 알아차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PERMA기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후기 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 OSP(Open Studio Process)를 활용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작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연구 - 석사학위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