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Art Therapy Experiment of a Mother Raised Two Childern with Encephalopath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서우정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0권 제4호, 1171~1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1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P시에 거주하는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성인 여성으로 어머니의 치료 경험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경험과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로 접근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1년 4월 27일부터 2021년 9월 8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주 1회에서 또는 2회기, 약 50분간 총 20회기 진행되었다.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를 통해 만난 경험은 ‘세 명이 하나인 최연희’, ‘나의 두려움을 깻잎으로 덮어주던 사람’, ‘하염없이 슬퍼하던 남편’, ‘안타까운 마음과 인내하는 기다림에 대하여’, ‘엄마라는 이름 뒤로 숨긴 나의 슬픔’, ‘뇌병변장애 자매에 대한 새로운 시선’, ‘최연희의 환한 미소’, ‘닫혀있던 마음의 문을 열고’ 8가지가 발견되었다. 그 경험의 의미는 첫째, ‘자신의 감정을 마주하다’, 둘째, ‘삶의 변화’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가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자기 이해와 자기를 재구성하는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focused on finding the meaning of an art therapy experience for a mother of daughters diagnosed with encephalopathy. The paticipant was a the mother of the daughters residing in the city of P. The study approached the understanding of the mother's therapeutic experience as an adult female and the meanings that emerged in the process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art therapy conducted 20 sessions for four months (from April 27, 2021, to September 8, 2021),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In the sessions, a total of eight experiences were discovered: ”Choi Yeonhee, the three in one,“ “The person who comforted my fears by perilla leaves,” “My endlessly sad husband” “Regarding the heartfelt longing and patient
waiting,” “My sadness hidden behind the name 'mom',” “A new perspective on my daughters with encephalopathy,” “Choi Yeonhee's bright smile,” “and Opening the door to my closed heart. ”The discovered experience the study was categorized into two themes: “Confronting her own emotions” and “Changes in life.” The art therapy experience allowed the mother to engage with her emotions and reconstructed her sense of sel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연구: Q방법론적 접근
- 뇌병변장애 자매를 둔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장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자전적 탐구
- 초보미술치료사의 과거 작품과 현재 반응작업을 통한 알아차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PERMA기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후기 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효과
- OSP(Open Studio Process)를 활용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작업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동료미술치료사 3인의 비대면 미술작업에서 공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보 미술치료사의 임상현장 체험연구 - 석사학위취득 후 3년 이내의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