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Clim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in Medical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천경희 박원균 이상숙 박영순 강이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179~2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과대학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논의의 첫 단계로 1개 의과대학(A)과 1개 공과대학(B) 학생들과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의과대학의 교육풍토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168명의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살펴본 결과, 6개의 하위 영역 중 ‘독창성과 새로움의 추구’ 요인과 ‘학습에 대한 자기성찰’요인의 점수가 타 요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개 대학의 인터뷰 대상자들 간 비교 결과, 창의성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있어서는 ‘학습에 대한 애정’, ‘학습 및 과제에 대한 효능감’, ‘자신에 대한 긍정적 기대’, ‘학습에 있어서의 자율성’의 4개 요인에서 A대학 학생들이 B대학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풍토에 대한 인터뷰에서는 교수, 선후배, 동료들 관의 관계, 학습과 관련된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미래의 역량 있는 의사 양성을 위해 의과대학에서 어떤 문화를 창출하고 공유하고 전수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s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nd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and of educational climate in a medical school as the first step of a study for competency based educations in medical schools. We conducted a test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n 168 students of medical school and 4 focus-group-interviews about the climate for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in 20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and an engineering school.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test composed of six sub-areas fo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carrying on 168 medical students, each score of ‘Creativity & Seek Originality' and 'Self-Reflection on Learning'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four sub-areas.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est carrying on the interviewed students in the both schools, the scores of four sub-areas including ‘Passion of Learning', 'Self-esteem about Learning and Tasks', 'Positive Self-expectation' and 'Autonomy' in the medical schoo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engineering scho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Thinking’ between the both schools.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for educational cli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of students-professors, colleagues, and grades, and i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between the both schools.
As a result, it is required to concentrate concerns o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climate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medical students for fostering competent medical doctors in the futur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