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 영문명
- NLP Group Therapy Program's Effectiveness on University Students' of Life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서금택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89~1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며, 또한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점수 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참여빈도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의 W대학교에서 실시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의 삶의 질 척도(KvSBQOL)를 사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삶의 질 사전-사후점수 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참여빈도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삶의 질 점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신경논리적 차원에 따른 상하 집단 간의 삶의 질 점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어느 정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효과가 크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tudy, it is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depend on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and also to fin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depend on neurological levels.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before the test and after the test of the experiment group those who were in NLP group therapy program?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by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in NLP group therapy program?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group and the lower level group by the different neurological levels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The object of the study was 10 students from W-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and KvSBQOL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before the test and after the test of the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depend on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of the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by the different neurological levels in experiment group of NLP group therapy program. As a result, NLP group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