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이용수 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형재 김경미 가종순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125~1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유아교사의 창의성 인성에 관련된 요인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을 적용함으로써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인 유아교육과 3, 4학년 대학생 183명으로 이들에게 두뇌우성 사고유형 및 창의적 인성을 측정하였다. 검사도구는 Herrmann의 두뇌우성 검사(BDI)와 Torrance의 자기보고식 창의적 성격검사(WKOPAY)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4가지 두뇌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뇌우성 사고유형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를 밝히고자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좌상뇌와 좌하변연계는 정적 상관을 보이고, 우상뇌와 우하변연계는 관련성이 높지만, 좌상뇌. 좌하변연계는 우상뇌, 좌하변연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좌상뇌, 좌하변연계는 권위의 수용과 정적 상관인 반면, 적극적인 상상력 및 창의적 인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좌하변연계는 탐구심과도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우상뇌, 우하변연계는 권위의 수용과 부적 상관인 반면, 적극적인 상상력 및 창의적 인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신감, 탐구심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어떤 관계도 없었으며, 특히 자신감 및 타인에 대한 의식은 어떤 두뇌우성 사고유형과도 관계가 없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은 우하변연계가 가장 높고, 좌상뇌 지배형이 가장 낮았다. 또한 권위의 수용과 타인에 대한 의식은 좌상뇌가 가장 높고 우하변연계 지배형이 가장 낮았으며, 자신감과 탐구심은 집단별 차이가 없었고, 적극적인 상상력은 우하변연계가 가장 높고 좌상뇌가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두뇌우성 사고유형은 창의적 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두뇌우성 사고유형에 따라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A, B, C, D quadrant thinking typ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18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University or Collage University in Bus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Herrmann Brain Dominance Instrument and WKOPAY(What of Person Are You?) for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 quadrant thinking type and B quadrant thinking type, C quadrant thinking type and D quadrant thinking typ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and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uthority,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didn't correlated to the self-confidence and awareness of others.
Also, the left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inquisitiveness.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and limbic hemisp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uthority,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nd didn't correlated to self-confidence, inquisitiveness and awareness of others. Third, the crea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at is, the creative personality of right limbic hemisp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mong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acceptance of authority, awareness of others, disciplined imagina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among elements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Therefore, there was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brain dominance thinking types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초등학생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신체활동 기반 인지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단일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