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through Multiple-Intelligences-Based Instruc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홍기칠 임기훈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을 강화하고 약점 지능을 보완할 수 있는 직소우 협동학습모형의 사회과 수업과 강점지능을 강화하기 위한 아침학습활동과 재량학습활동 수업 등 모두 60차시의 다중지능기반수업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는 동일한 차시로 교사주도의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결과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중지능검사 점수와 문제해결력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다중지능검사의 하위영역별로는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그리고 개인이해지능 점수가 유의하게 더높았다. 그리고 문제해결력 검사의 하위단계별로는 문제발견, 문제해결책 고안, 문제실행 단계의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직소우 협동학습모형의
사회과다중지능기반 확장수업이 학습자의 강점 지능을 촉진하고 약점 지능을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과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주도의 일반수업에 비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verify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the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through multiple-intelligences-based instruction. Subjects were composed of 56 students of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implemented 60 hours of multiple-intelligences-based Social Studies class, which contains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pre-regular morning activities and selected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stro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to complement weak multiple intelligences. The teacher of the control group has implemented 60 hours of teacher-directed Social Studies class, pre-regular morning activities and selected learning activities.
Post test mark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blem solv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post test marks of 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hich are in the sub-domain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Post test marks of problem discovery, devise of problem solving methods and problem implementation, which are the sub-processes of problem solv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intelligences-based instruction can be offered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and problem solving opportunities, so that students who have strong multiple intelligences are promoted and students who have weak multiple intelligences are complemen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