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Processing Speed according to Space Dimens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형재 홍순옥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49~6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간차원에 따라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성별에 따라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입체 집 모형과 집 사진을 제시하여 그리게 한 후 이를 비교, 분석하였고, 유아들의 그리기 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4세 유아는 곡선 집에서 공간차원에 따라 그리기 표상능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5세 유아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4세 유아는 곡선 집에서 공간차원에 따라 정보처리속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5세 유아는 직선 집뿐만 아니라 곡선 집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4세 유아는 성별에 따라 그리기 표상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5세 유아는 직선 집 평면사진과 곡선 집 입체모형 그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4, 5세 유아 모두 성별에 따른 그리기 정보처리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대한 발달적 특징이 공간차원과 관련이 있으며 성별과는 4세는 관련이 없지만 5세는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의 정보 처리속도는 곡선보다 직선일 때 더 빨라지며 성별과는 관련이 없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and processing speed according to space dimension. The subjects were 102 young children(41 four-year-olds and 61 five-year-olds) from daycare center in Busan, Korea. Each child was asked to draw four difference pictures such as: straight or curves lines and two-dimensional pictures surface or threedimensional models. We measured the time for children's drawing and drawing was scored based on 'rating table of detail descriptions'.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4-year-o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according to space dimension at curved lines houses, but 5-year-olds weren't differences that not only straight but also curved that. Second, 4-year-o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processing speed in drawing curved lines houses according to space dimension, but 5-year-olds were differences that not only straight but also curved that. Third, 4-year-olds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according to sex in all that, but 5-year-olds were differences that in straight lines and 2-dimension, and curved lines and 3-dimension house. Forth, 4, 5-year-olds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processing speed in drawing according to sex in al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pace dimension, and sex at not 4-year-olds but 5-year-olds. Also, processing speed of young children is faster in straight than curved lines house but isn't correlated with sex.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초등학생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신체활동 기반 인지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단일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