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이용수 8
- 영문명
- Developing a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Creative Writing: Using Novel Noun Compound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정섭 정주영 강정란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1호, 155~1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육현장에서의 글쓰기 활동은 아동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지 못하여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은 현격하게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자연스럽게 극복함으로써 아동의 언어 창의성 및 쓰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글쓰기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새로운 합성명사를 생성하고 해석하는 것은 창의적 사고를 요구하므로 이것을 적절히 이용하면 초등학생들에게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개발된 모형은 현장교육전문가(초등교사 3명), 프로그램개발 전문가(교육공학자 1명)로 구성된 전문가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최종적인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다. 쓰기 전 활동으로는 ① 생각 꺼내기 ② 결합개념 생성 및 해석하기 ③ 주제정하기, 쓰기 중 활동으로는 ④ 생각그물 짜기 및 묶기 ⑤ 글쓰기 ⑥ 글 다듬기, 그리고 쓰기 후 활동으로 ⑦ 작품화하기의 단계로 구성되었다.
영문 초록
Many educators have complained two problems of educational settings: 1) elementary students are lack of creative writing skills and 2) teachers do not consider the levels of students' writing ability at their classrooms.
It is necessary for educators to develop a new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creative writing skills which are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verbal creativity. When students generate and interpret novel noun compounds, they usually use their own creative thinking. So it is possible to teach creative writing skills to elementary students by using novel noun compounds.
We developed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creative writing skills on the basis of related literatures.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4 experts who were major on elementary education, teaching method, creativity, and instructional system tech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 finally developed a series of process for teaching creative writing skills to elementary students. The model contains 7 steps: ① generating new ideas ② generating noun compounds and interpreting them ③ determining the topics, ④ networking ideas ⑤Writing ideas ⑥ revising and editing ⑦ wrapping up and present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
- 새로운 합성명사를 이용한 창의적 글쓰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초등영재 성별에 따른 도형추론지능검사의 차별기능문항과 오류유형 분석
- 다중지능기반수업이 다중지능발달과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 공간차원에 따른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및 정보처리속도의 차이
- 연령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격의 발달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