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의 어린이-되기와 장소 배움
이용수 136
- 영문명
- Deleuze’s Becoming Child and Place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명화 권정화
- 간행물 정보
- 『초등교과교육연구』제38호, 2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1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Deleuze's discourse on learning, the concept of place is created between elements entangled in assemblage and has an affective nature that varies. Based on such place learning, geography education can be converted from acquiring knowledge
to generating thought. If place learning can be viewed as the process of creating concepts, the perspective on children is also changed.
In the light of Deleuze's discourse on body, all bodies are accidentally entangled and mutated, so the modern subject is dismantled and the subject is converted to mutating and creating, that is, becoming. Children can be seen as becoming-child
subjects who meet places with various emotions in different assemblage. In this perspective child are not passive beings trapped in the striation of knowledge, but have the ability to sense places in various assemblage, change and mutate such
assemblage.
목차
Ⅰ. 서론
Ⅱ.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존재론과 장소 배움의 의미 전환
Ⅲ. 장소 배움의 주체와 어린이-되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읽기 전략 지도 방법으로서의 교사의 사고구술 내용 구성 방안
-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격, 목표 및 이해와 표현 영역 연구
-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점검하기 분석
- ‘특수교육학’에 전제된 교육관의 유형과 ‘교육’ 용어 사용의 문제점 분석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오르프 교수법 내용 및 활동 분석
- 교실 교육과정 실행 중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특성 연구
- 들뢰즈의 어린이-되기와 장소 배움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어휘 학습 원리와 유형
- 특수학교 음악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돌봄 국가책임제가 유치원 교사에게 남긴 과제: 직무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