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Career Barriers on Confidence in Job-seeking among the Unemployed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between them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류주연 이석미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3권 제2호, 39~6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노인이 가진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KLoSA) 7차년도 자료(2018)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 55~74세의 비근로 노인 1,459명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비근로 노인들의 취업자신감은 39.68점(100점 만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응답자는 진로장벽 중 심리적 장벽을 가장 높게, 사회구조적 장벽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노인이 직면한 진로장벽이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심리적 장벽에서 취업자신감이 낮아졌고 사회구조적 장벽에서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진로장벽과 취업자신감 간의 관계에서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갖는 조절효과는 주관적 계층의식만이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근로 노인의 진로장벽을 완화하고 취업자신감을 고취할 수 있는 일자리 지원정책의 제고, 서비스의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the level of confidence in job-seeking among the unemployed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incom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confidence in job-seek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nducted in 2018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59 elderly people aged 55 to 74 who do not currently work. Our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onfidence in job-seeking among the unemployed elderly was severely low, scoring 39.68 out of 100. Second, psychological barriers were often experienced and social structural barriers were the lowest. Third, psychological barriers had the greatest impact on confidence in job seeking, while social structural barriers had the least. Lastly, we also measur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nfidence in job-seeking. Confidence in job-seeking was significant only in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ifferent types of career barriers experienced by the unemployed elderly as well as their socioeconomic statu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m to successfully plan their career path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