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이용수 594
- 영문명
-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Collaborative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and On-offline Blended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설(Miseol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207~24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을 설계 및 실행하여 그룹 내의 협력적 창작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수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관찰영상, 웹사이트 데이터, 면담, 성찰에세이, 마인드맵, 활동지, 창작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차에 걸친 코딩으로 질적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협력 과정의 전략으로 ‘통합’과 ‘선택’을 발견하였다. ‘통합’과 ‘선택’은 모두 협력적 창작을 위해 구성원들이 팀 내에서 합의한 나름의 규칙이자 하나의 전략이었다. 또한, 그룹 내 창작 과정에서 학생들의 태도가 변화했던 요인으로 동료 학생들의 ‘정서적 지지’에 따라 학생들의 ‘자신감’이 달라졌다는 변화를 논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공교육 현장에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이 가지는 의의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음악창작 수업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creative process within the group by designing and executing music crea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Qualitative data such as class observation videos, website data, interviews, reflection essays, mind maps, and worksheets were collected from 50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wo-stage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gration' and 'selection' were found as strategies for the cooperation process within the group. Both 'integration' and 'selection' were rules and strategies agreed upon by members within the team for collaborative creation. In addition, discussions regarding changes in students' 'confidence' due to 'emotional support' as a factor affected students' attitudes in the creative process in the group.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the field of public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trategy of practical music creation classes in post COVID-19 era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