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이용수 170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on Teacher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조대현(Dae Hyun Cho)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179~2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학교 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다양한 논의 속에서, 본 연구는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미래 음악교사 양성 및 선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고찰과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통해 음악교사의 역량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이후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 139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및 현직교사 모두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는 대부분의 역량군과 하위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IPA와 Borich 요구도의 분석 결과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우선순위에 있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경우 음악교사 선발 및 임용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문항들에 있어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반면, 현직교사에게는 현장을 비롯한 교육 경험과 관련한 문항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역량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예비 및 현직교사의 요구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장과 연계한 음악교사 양성과정의 중요성과 현직교사의 요구에 적합한 재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In various discussions on school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n changing times, this study aime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selecting future music teac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perception of per-service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regarding competency requirements. To this end, the Competency of music teachers was summarized through the review of subject-related prior research and expert validation, and responses from 139 prospective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importance of competency requirem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st competency groups and sub-ite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PA and Borich needs showed very different priorities between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For pre-service teachers, ques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appointment of music teachers showed high priority, while incumbent teachers showed high demands and needs for questions related to educational experience, including on-the-job training. Accordingly, this researc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linked to the field and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training suitable for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