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이용수 295
- 영문명
- A Study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pplying the Reflective Musical Practicum by David J. Elliott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경(Bo Kyoung Kim) 백재연(Jae Yeon Pai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5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 실습을 고찰하고 사회적 소통으로서의 음악 활동을 통해 다문화 음악의 ‘문화’와 ‘맥락’을 습득하는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을 개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엘리엇의 다문화적 관점을 수용하고 그가 제시한 다문화 음악교육 유형 중 역동적 유형에 의해 교육자료와 활동 내용을 구성하였다. 인도 종교음악, 동아프리카 동요, 하와이 무용음악, 쿠바 대중음악으로 하는 새로운 다문화 악곡을 도입하고 종교, 언어, 종족, 역사의 주제별 맥락을 설정하였다. 이 악곡과 맥락을 중심으로 하여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 실습 프로그램 7단계에 따라 작사, 작곡, 신체표현, 즉흥연주의 음악만들기 활동의 지도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Elliott’s reflective musical practicum and pursued the acquisition of the ’culture’ and ’context’ of multicultural music through reflective music activities such as social communication. The materials and contents are based on the Dynamic multicultural curriculum of Elliott, which contains his multicultural point of view about music. This guidance plan was designed for writing lyrics, composing, physical expression, and improvising music-making activities using the seven stages of Elliott’s reflective musical practicu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