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이용수 174
- 영문명
- A Senior Music Educator’s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Focused on the Interview with Emeritus Professor Hong-soo Lee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수(Gi-Su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 우리의 음악교육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발과정 중에 있다. 이 교육과정의 개발은 앞으로의 음악과 교육의 목적 및 목표, 내용과 방법,평 가 등의 방향과 척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때 더욱 요구되는 것이 지난날 교육과정의 성찰과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음악 교육적 혜안이다. 이홍수 명예교수는 한국음악교육을 대표하는 원로학자로서 우리나라 음악교육발전과 함께해 온 역사적 산증인이다. 그와의 대담을 통해 바람직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체계, 내용 및 방법 등을 들어보았다. 특히, 이홍수 교수는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은 교과 교육의 본질화, 현대화, 체계화, 정교화의 과정이다’라고 역설하였다. 이는 현행 개발 중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뿐 아니라, 바람직한 미래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위한 하나의 지계석으로 작용할 것이다.
영문 초록
Currently, our music education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Developing this curriculum is an important issue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scale of future music and education goals, content and method, and evaluation. What is more required at this time is the reflection of the past curriculum and the musical educational insight that can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Emeritus Professor Ph. D. Lee Hong-soo is an honorary professor representing Korean music education and is a living witness who has been with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Korea. Through his conversation, I listened to the system, content, and method of the desirable music and curriculum. In particular, Professor Lee Hong-soo emphasized that 'the revision of the music curriculum is a process of intrinsicalization, modernization, systematization, and elaboration of subject education.' It will serve as a grounding stone for the desirable future music an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currently being develop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