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이용수 174
- 영문명
- A Study on World Music Teaching Approach through Music Listening Grounded in Body Movement: Focusing on Mongolian Long Song and Lullab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혜은(Hae Eun Shi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95~12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움직임 기반 음악듣기를 통해 몽골 음악의 선율적 특징을 분석하고 초⋅중등을 위한 음악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적 맥락이 음악에 미치는 영향과 세계음악교육에서 음악감상의 중요성 및 요구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두 곡의 음악적, 문화적 특징을 종합하여 핵심적 듣기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셋째, 캠벨의 3단계 음악듣기활동 중 “참여하며 듣기”의 내용적 의미를 달크로즈의 능동적 듣기의 원칙으로 짚어보고 음악듣기 전략을 발전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넷째, 선곡한 몽골 노래들에 대한 초⋅중등 대상 신체 움직임 기반 음악듣기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음악듣기를 통해 세계음악을 경험하는 필수적인 방법으로 신체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몽골 노래 “부웨인 두” 와 “케룰렌 강” 교수⋅학습 지도안
I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