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17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Music Class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숙(Mi Sook Kim) 권혜인(Hae In Kw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25~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OVID-19 시대와 COVID-19 이후의 음악 교과 수업의 목표와 방향성을 탐색하고 고등학교 음악 교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DDIE 모형을 토대로 블렌디드 러닝 절차를 절충하여 1학년은 생활화 영역, 2학년은 표현 영역에 비중을 두고 5차시 프로젝트 음악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수업 후에는 교사 자기 평가와 개방형 학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잘 설계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재해석하여 음악 수업의 범위를 확장시켜줄 수 있다. 둘째, 미래 교육이 지향하는 일상 예술과 온ㆍ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예술활동이 이루어지려면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 형태는 필수적이다. 셋째, 등교 수업과 실시간 쌍방향 원격 수업이 격주로 이루어진 음악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ase on blended learning that can be utilized for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to explore the objective and future direction of high school music courses. It designed a project music class that compromised the procedure of blended learning using the ADDIE model, and then conducted five courses for the first grade focusing on the life area and for the second grade focusing on the expression area, respectively. After class, teacher self-assessment and an open-ended student survey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first, a well-designed blended learning class can expand the scope of music classes by reinterpreting the curriculum’s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adopting blended learning is very important for people to be in line with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of everyday art both online and offline. And third, most students positively evaluated the project music classes that were done either offline (in class) or online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biweekly.
목차
Ⅰ. 서론
II. 블렌디드 러닝의 이해
III.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실제
IV.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평가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