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이용수 431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and Description of Core Concept and Central Ideas in Music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윤정(Yoon Jeong J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157~1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 시안의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서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관련 용어인 ‘일반화된 지식’과 ‘빅 아이디어’의 의미를 고찰하고, 미래 음악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차기 교육과정에서도 소수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한 학습량 적정화와 학습의 질 개선이 개정 방향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 개념’ 및 ‘핵심 아이디어’가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이해하여 할 교과의 본질 및 원리를 의미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아이디어에 대해 살펴보고, 도출된 시사점으로 우리나라 미래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의 서술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탐색과 제언들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주요 용어들이 의미하는 본래의 취지를 바르게 이해하고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ore concept' of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and the 'central idea' of the next music curriculum draf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narrative in curriculum document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generalized knowledge’ and ‘the meaning of big ideas’, which are terms related to core concepts and central ideas,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future music and curriculum. This study emphasizes that ‘core concepts’ and ‘big ideas’ mean the essence of the subject that students will ultimately understand. The big ideas of the Canadian BC curriculum and the central idea of IB PYP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of Korea's future music curriculum was also discussed with the derived implications. Based on these explorations and sugges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curriculum will be well understood and applied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
Ⅳ. 음악과의 핵심 아이디어의 서술 방향 탐색
V.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한 한 원로음악교육자의 시각 - 이홍수 명예교수와의 대담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음악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 사례 연구
- 엘리엇의 반성적 음악교육을 활용한 다문화 음악교육 지도 방안 연구
-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의 의미 및 서술 방안 고찰
- 음악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모색 - FGI를 활용한 음악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 신체 움직임과 음악듣기를 통합한 세계음악교육방법 연구 - 몽골의 긴 노래와 자장가를 중심으로 -
-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 제 53회 한국음악교육학회 여름학술대회를 마치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