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이용수 52

영문명
An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space at forest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정대현(Jung, Dae-Hyun)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숲의 교육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공간은 숲을 교육 공간으로 한 유치원과 초등 ‧ 중등의 통합학교(Comprehensive Schools)형태인 하리 숲 학교이다. 하리 숲 학교는 설립 이후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민을 통해 발전해 오고 있다. 이러한 고민들의 기록물들과 구성원들의 면담, 참여관찰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하리 숲 학교 아이들의 배움의 모습 속에서 본 숲은 아이들의 학습본능을 일깨워 주며, 학습공동체를 만들어 주었다. 숲에서 만들어진 학습공동체는 가르침과 배움이 함께일어난다. 또한 숲에서 가르침과 배움은 ‘가르치지 않는 것이 가르치는 것이다!’로 재 개념되었으며, 시간의 패러다임에서 공간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었다.

영문 초록

Forest schools in Korea are in their beginning stage. Its status as a provider of alternat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rapidly gained prominence since 2011. Approximately 42% of all standard kindergartens are currently registered as forest schools. Forest school is considered an upcoming provider of alternat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The school is inspirational, in that it enables ALL learners to achieve and develop confidence and self-esteem through hands-on learning experiences in a woodland or natural environment with trees(FSA,2012). The proposal aims at exploring the daily rituals, interpretation of certain meanings within the education system, values, and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space at Forest. To achieve the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observations,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were used. Ethical considerations were employed in the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Standard practices for maintaining confidentiality were applied. Despite differences in schools’ education methods and operational systems, the kindergartens at Forest school had many advantages, as educational environments with many learning opportunities. Forest comprises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is re-conceptualized, where “No-teaching is teaching,” and the time paradigm changes to the space paradigm. Forest as an educational space is construed as encompassing changes from the “otherized space” and the “functionalized space” to the “existential space” and the “essential educational space.” Essentially, Forest is a condition for both education and educational compon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결론 :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대현(Jung, Dae-Hyun). (2015).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4 (2), 1-24

MLA

정대현(Jung, Dae-Hyun). "교육공간으로서의 숲, 그 의미의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4.2(2015):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