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포츠 인권 정책분석을 통한 인권침해 원인과 향후 과제

이용수 156

영문명
An Analysis of Human Rights Policy in Sport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저자명
홍덕기(Hong, Deock-Ki)
간행물 정보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4권 제1호, 23~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 문제가 되어온 스포츠 분야 인권정책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인권침해의 원인과 인권향상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 스포츠 인권의 개념을 학습권 침해, 폭력, 성폭력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스포츠 인권개념의 확장에 대해 탐색한다. 3장에서는 스포츠 인권정책의 시대적 흐름을 1차 정책수립기(2006-2010), 정책과도기(2011-2018), 2차 정책수립기(2019-현재)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특징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스포츠 인권침해의 원인을 ‘스포츠강국’ 패러다임으로 설정하고 이를 ‘국위선양에 따른 경기실적 중심 평가’,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문화: 침묵의 카르텔’, ‘비과학적이고 과도한 훈련 및 인권교육의 부재’, ‘가해자 징계시스템의 부실’, ‘피해자 보호시스템의 부실’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또한, 스포츠 인권향상을 위한 향후 과제를 ‘모두를 위한 스포츠’ 패러다임으로 설정하고 ‘법・제도의 개선’과 ‘인식의 개선’ 측면에서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uman rights policy in sports and provide future task for human rights improvement in South Korea. First, the human rights concept in sports was analyzed based on the rights to be educated, sexual harassment, and physical and emotional violence. In addition, an extension of human rights concept was discussed(Chapter Ⅱ). Second, human rights policy in sports was analyzed based on ‘the first period regarding human rights in sports policy(2006-2010)’, ‘the transition period regarding human rights in sports policy(2011-2018)’, and ‘the second period regarding human rights in sports policy (2019-current)’(Chapter Ⅲ). Third, the reason for human rights violation in sports was analyzed based on ‘sports power’ paradigm. Specifically, ‘result-centered evaluation’, ‘hierarchical culture: a silent cartel’, ‘unscientific over-training’, ‘vulnerable offender penalize system’, and ‘vulnerable victim protection system’ was discussed(Chapter Ⅳ). Fourth, future task was analyzed based on ‘sports for all’ paradigm. Specifically, human rights in sports ‘the improvement for law and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for human rights in sports’ was discussed(Chapter Ⅳ).

목차

Ⅰ. 서론
Ⅱ. 스포츠 인권의 개념
Ⅲ. 스포츠 인권정책의 시대적 흐름
Ⅳ. 스포츠 인권침해의 원인과 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덕기(Hong, Deock-Ki). (2021).스포츠 인권 정책분석을 통한 인권침해 원인과 향후 과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4 (1), 23-52

MLA

홍덕기(Hong, Deock-Ki). "스포츠 인권 정책분석을 통한 인권침해 원인과 향후 과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4.1(2021): 2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