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도화 방안 연구
이용수 85
- 영문명
- A Study on Legalization Measures to Prevent Technology Leakage in the Game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정현(Jung, Hyun) 황예진(Hwang, Ye-Jin) 조건휘(Jo, Geon-Hwi)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4권 제1호, 93~1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8/158592.jpg)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세계 게임 시장 점유율은 미국, 중국, 일본, 영국에 이어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는 중국, 미국, 일본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성과를 이루기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을 하였지만, 그중에서 국내 게임개발사의 게임제작과 성공 그리고 후속 게임의 등장이라는 선순환의 역할이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선순환의 출발점인 게임개발 시에 발생하는 영업비밀, 기술유출 등의 산업보안 문제로 게임개발 의욕이 저해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게임개발사가 받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게임산업이 가지고 있는 영세성, 게임수명의 단축화, 잦은 이직 등의 특수성은 게임기술의 유출 등에 대한 산업보안에 더욱 취약한 부분으로 평가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게임산업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산업보안 강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게임백서,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정부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게임산업 관련 지원제도의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지원제도 중 게임산업보안을 위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게임산업에서 발생하는 기술유출 사례를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해당 사례를 분석하여 보안 취약점을 파악하였다. 끝으로, 게임산업 관련 기술이 산업보호기술법에서 말하는 산업기술에 포함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게임산업법상에 게임산업보안 기술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게임산업의 기술유출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Korea ranks fifth in the world game market after the U.S., Japan, and the U.K., and has the second highest share in the world mobile game market after China, the U.S., and Japan. Many factors worked until such a successful outcome, but the most important of all was the virtuous cycle of game production, success, and the emergence of subsequent games by Korean game developers. However, industrial security issues such as trade secrets and technology leakage, which are the starting points of a virtuous cycle, are not only hampering game development motivation, but also increasing damage to game developers. The smallness of the game industry, the shortening of game life, and the frequent job changes are considered to be more vulnerable to industrial security. In order to present customized industrial security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the game industry,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game industry support system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data analysis such as the White Paper on Games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the Game Industry and classified technology leakage cases in the game industry a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analyzed them to identify security vulnerabilities.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d whether game industry-related technology is included in industrial technology under the Industrial Protection Technology Law, and included in the Game Industry Law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game industry technology and strengthen 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게임산업의 현황
Ⅲ. 게임산업의 기술유출 유형 및 사례
Ⅳ. 게임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도화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 인권 정책분석을 통한 인권침해 원인과 향후 과제
- 대한체육 100년, 변화의 방향
- 승인받지 않은 대회 참가 선수에 대한 스포츠단체의 제재와 경쟁법의 적용
- 과거사실 강제소환 행위의 위법성
- 엘리트 운동선수의 일탈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요인탐색 및 모형개발
- 게임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도화 방안 연구
- 이스포츠 개인 방송의 공정이용 적용에 관한 연구
- 신문 빅데이터를 이용한 e스포츠의 드론 축구 관련 키워드 분석
- 코로나19(COVID-19)가 가지고온 스포츠 관련 법적 쟁점 연구
- 체육시설 안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문화재의 불법거래에 관한 EU법상의 규제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