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거사실 강제소환 행위의 위법성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illegality of compulsory recall act on past facts: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sports players personal rights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남봉근(Nam, Bong-Keun)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4권 제1호,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스포츠 선수, 연예인 등의 공인은 대중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이들의 인기가 높아질수록 일거수일투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다루는 보도 기사의 수도 자연스레 증가하게 된다. 이때 보도 경쟁이 과열양상을 띄게 되면, 해당 유명인의 과거 사실을 언급하는 방식으로 조회 수를 얻으려는 기사 작성 또한 관행 아닌 관행으로 자리 잡게 된다. 과거사실 강제소환 행위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스포츠 선수, 연예인 등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물의를 일으킬 당시에 이에 관하여 상세히 보도하거나 혹은 유사한 과거 사실을 언급하는 방식으로 보도하는 경우에는 비방의 목적을 입증하기 어렵다거나 혹은 소위 위법성조각사유를 갖추었다는 등의 이유로 불법행위책임을 추궁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제1유형, 제2유형의 경우에는 위법성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과거 사실을 뜬금없이 현재 시점으로 강제로 소환하는 형태로 작성된 기사나 댓글의 경우에는, 헌법상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내지 인격권 등에 근거하여 위법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제3유형의 경우에는 위법성을 쉽게 인정할 수 있다). 가령 현재 활약하고 있는 스포츠 선수를 다루는 기사의 말미에 과거 한때의 불미스러운 일을 사족처럼 붙이는 방식으로 작성된 기사에는 어떠한 공익성도 발견할 수 없는 반면, 당해 선수의 인격권 등을 크게 침해하기 때문이다. 과거 사실의 뜬금없는 강제소환은 잘못된 보도관행인 만큼 지양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blic figures such as sports players and celebrities are loved by the public. As their popularity grows, much attention will be paid to their every move and the number of news articles dealing with them will naturally increase. When the competition for coverage overheated, writing articles to get views by referring to the celebrity s past facts became a bad practice. The act of forced recall of past fa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types. If sports players(or celebrities) report in detail or mentions similar past facts at the time of any social controversy, it will not be easy to accuse them of illegal activities for reasons such as having so-called grounds for illegality or difficulty in proving the purpose of slander(In the case of Type 1 and Type 2 it is not easy to acknowledge the illegality). However, in the case of articles or comments written in the form of so-called forced summons of past facts, it is believed that the responsi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can be sought. Under the Constitution, it shall be deemed illegal based on the secrets of privacy and freedom, personal rights, etc(In the case of type 3, illegality may be easily recognized). For example, at the end of an article dealing with an active sports player, there is no public interest in an article written in the way of attaching a once-in-a-lifetime unsavory event, but it greatly violates the player s personality rights. Unexpected forced summons of past facts should be avoided as it is a false press practice, and among the contents of exclusive contracts signed by public figures such as sports players and entertainers, it could be a problem with whether they violate their duty to maintain dignity.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과거사실 강제소환 행위 및 유형 분류
Ⅲ. 불법행위 유형에 따른 위법성 검토
Ⅳ. 결론
키워드
과거사실
과거사실의 강제소환
과거전력
인격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잊혀 질 권리
언론보도의 한계
악성댓글
불법행위책임
위법성
잘못된 보도관행
Past facts
forced recall of past facts
past history
personality rights
secrets and freedoms of privacy
right to be forgotten
personal rights
limitations of media coverage
malicious comments
responsi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wrong reporting practi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포츠 인권 정책분석을 통한 인권침해 원인과 향후 과제
- 대한체육 100년, 변화의 방향
- 승인받지 않은 대회 참가 선수에 대한 스포츠단체의 제재와 경쟁법의 적용
- 과거사실 강제소환 행위의 위법성
- 엘리트 운동선수의 일탈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요인탐색 및 모형개발
- 게임산업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법제도화 방안 연구
- 이스포츠 개인 방송의 공정이용 적용에 관한 연구
- 신문 빅데이터를 이용한 e스포츠의 드론 축구 관련 키워드 분석
- 코로나19(COVID-19)가 가지고온 스포츠 관련 법적 쟁점 연구
- 체육시설 안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문화재의 불법거래에 관한 EU법상의 규제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