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제철기지의 조성과 변화과정

이용수 1021

영문명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Iron Production Site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of the Central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정경화(Jeong, Kyeonghwa)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9집, 99~13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에서 조사된 제철로와 제철 관련 유물의 분석을 통하여 제철로의 시기별 특징과 지역성을 규명하여 제철 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철기지의 운용주체와 변화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역사·문화적 의미를 살려보고자 하였다. 기원후 2세기 중엽 이전에는 별도의 제철로가 조성되지 않으며 소형 단조철기 제작이 주로 이루어진다. 기원후 2세기 중엽부터 경기 남부지역에 점토시설형 제련로와 지하식 정련로, 단야로 등의 제철로가 등장하며 북한강 유역과 경기 북부지역에도 다수의 단야로가 축조되어 제철 조업이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기원후 3 세기 후엽부터 제철로는 미호천 유역과 남한강 유역에 다수 조성되며 목재시설형 제련로가 새롭게 조성되기시작한다. 이와 더불어 영동지역의 대규모 취락에서도 단야로를 이용한 정련과 단련단조 공정이 이루어진다. 제철 조업의 거점이 되었던 제철기지는 2세기 중엽 경기 남부지역에 가장 먼저 조성되며 그 기술의 기원은 진·변한 지역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 운용주체는 2세기 전엽부터 진·변한 지역과 문화적 교류가있었던 곡교천 유역의 목지국으로 파악된다. 경기 남부지역의 제철기지에서 생산된 철소재와 철기들은 각 제철기지의 주변에서 소비 및 유통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하천 등 수로를 통해 목지국의 중심지인 곡교천 유역으로 공급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기원후 3세기 후엽부터 마한 제철기지는 미호천 유역을 중심으로 조성되며 4 세기 중엽부터 백제가 미호천 유역과 남한강 유역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면서 운용주체가 백제로 변화한다. 철산지와 다수의 백탄요가 인접한 미호천 유역과 남한강 유역은 수로를 이용하여 생산된 철소재와 철기들을 백제 중앙과 함께 각 거점 성곽에 효율적으로 공급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지정학적 이점과 원삼국기 마한의 철 생산 기반을 활용하기 위해 백제는 전략적으로 미호천 유역과 남한강 유역 일대에 진출하여 대규모제철기지를 조성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영문 초록

A number of iron production sites dating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have recently been excavated in the central region, sparking a number of studies on the chronology and form classification of iron furnaces. Studies took place, respectively, in the mid-western and mid-eastern areas, but there was relatively less interest on explaining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large scale of iron production and how it changed over time. This raises the need to identify the specific nature of iron production at the time, in addition to examining its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s such, the present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iron furnaces by analyzing iron furnaces and relevant artifacts excavated in the central region, spanning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operation of the iron production sites and how this force changed over time are key topics of interest. Specialized iron furnaces were not built until the mid 2nd century CE; during this time, the production of small-sized ironwares prevailed. From the mid 2nd century, iron furnaces (such as clay-based smelting hearths, underground smelting furnaces, and smithery hearths) began to emerge, and the intensification of iron production occurred in the Bukhan River and Imjin River regions, where a number of smithery hearths came to be used. From the 3rd century, a number of iron furnaces were established from Cheongju to Jincheon around the Miho River region, and in Chungju around the Namhan River region, accompanied by the appearance of wooden structure smelting hearths. In addition, smelting and iron refineries were prevalent in the large-scale residential sites of the You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Iron production sites were first established around the central and western areas where cultural exchange with the Jinhan and Byeonhan regions took place from the early 2nd century. Iron production sites came to be established along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as iron production skills came to be adopted from Jinhan and Byeonhan from the mid 2nd century;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process was Mokjiguk, which was once the center of Mahan. From the late 3rd century, the Miho River region emerged as the center of Mahan iron production. With the spread of Baekje influence throughout Chungcheong Province from the mid 4th century, the production sites of Jincheon were absorbed by Baekje, resulting in a shift in the driving force to Baekje. A number of specialized iron production sites incorporating smelting hearths came to be newly established by Baekje in Chungju, around the Namhan River region. The central region, where Jincheon and Chungju are situated, was a strategic post and fierce battleground for the Three Kingdoms; it is also where iron ore deposits and white charcoal used for iron production were plentifu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dvantageous to transportation via waterways cold be found. This is why Baekje strategically chose to establish such large scale iron production sites in this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중부지역 제철로의 현황과 분류
Ⅲ. 중부지역 제철로의 편년과 단계별 양상
Ⅳ. 중부지역 제철기지의 조성과 변화과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경화(Jeong, Kyeonghwa). (2021).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제철기지의 조성과 변화과정. 한국고고학보, 119 , 99-130

MLA

정경화(Jeong, Kyeonghwa). "원삼국~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제철기지의 조성과 변화과정." 한국고고학보, 119.(2021): 99-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