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비도성의 기와 생산과 가마 운영

이용수 899

영문명
Roof-tile Production and Kiln Operation in Sabi Capital Cit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솔언(Lee, Soleo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9집, 131~1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백제 사비기 기와가마 구조와 생산된 기와를 분석하여 그 변천양상을 살펴보고, 가마별 기와의생산·공급과 단계에 따른 가마 운영을 파악해 보았다. 사비기 기와가마는 구조에 따라 9개의 형식으로 분류한 후 이를 바탕으로 3개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Ⅰ 단계에는 횡염등요가 확인되고, Ⅱ단계에는 중국 북조와의 교류로 반도염평요가 새롭게 등장하며, 이와 함께반도염등요도 등장한다. Ⅲ단계에는 반도염 등요와 평요가 지속되며, 배부른 제형의 소성부가 새롭게 등장한다. 이는 한 번에 많은 기와를 소성하고자 내부 소성공간을 개선한 결과로 보인다. 기와는 선문 타날판과 토수기와의 사용, 외면→내면 방향으로의 분할방법(Ⅰ~Ⅱ단계)이 제작의 경제성과, 타날문양 단순화, 인장와의등장(Ⅲ단계)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제작시스템의 정립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와의 효율적인생산을 위해 먼저 기와 제작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나아가 가마의 구조 변화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기와 생산과 가마의 운영 양상을 파악해 보면, 사비기 전반(Ⅰ~Ⅱ단계)에는 기와 생산이 확대되고 가마는 주로 단기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성 내부 시설이 조성됨에 따라 점차 기와의 대량생산이 요구되면서 기와 제작공정은 노동력과 시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가마에서도 반도염평요의수용 등 변화가 나타났다. 가마는 주로 전용공급으로 단기적인 조업이 이루어졌고, 기와 제작집단은 그 수가많지 않았으며 필요에 따라 재배치되기도 했다. 사비기 후반(Ⅲ단계)에는 기와 생산의 체계화와 가마 운영의조직화가 진전되었다. 가마는 반도염등요로 정착되었고, 기와의 제작은 인장와의 생산 등으로 체계적이고 일원화된 제작시스템이 정립되었다. 또한 공용공급을 위한 가마가 확대되었는데, 늘어나는 기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가마는 장기 조업이 이루어지기도 했으며, 이에 따라 가마 운영도 좀 더 조직화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research undertaken on the roof tile kilns of Baekje’s Sabi period, which aimed 1) to track the changing patterns of kilns by analyzing their structures and roof tiles, 2) establish chronological stages, accordingly, and 3) examine the production and supply patterns, as well as the kiln management system, of each stage. Roof tile kilns were first categorized into nine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attributes and then organized into three stages. Horizontal draft climbing kilns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appearance of the half-down draft horizontal kiln. As a result, the floor plans of the firing sections became increasingly diverse with the addition of new full trapezoid and rectangular firing sections. The half-down draft horizontal kiln came to be introduced through Baekje’s exchanges with the Northern Dynasties of China. The full trapezoid- shaped firing sections made it possible to fire many roof tiles at a time. Along with these changes to the kiln structure, convenience and economy in the production of roof tiles was pursue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production and supply patterns of roof tiles per kiln, and found that the kilns of the sites of Neungsan-ri Temple and Wangheung Temple produced roof tiles exclusively for their respective Buddhist temples. The kiln of Jeongam-ri began by producing roof tiles for Gunsu-ri Buddhist Temple and gradually came to supply roof tiles to many different facilities within the capital city of Sabi. The Wangjin-ri kiln also provided roof tiles to various facilities in Sabi. The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roof tile production and kiln operation. In the earlier part of the Sabi period, there was an expansion of roof tile production, and kilns were operated on a short term basis to meet exclusive demand. Roof tile-making groups were not numerous and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emerging needs. In the later part of the Sabi period, progress appears to have taken place in the systemization of roof tile production and the organization of kiln operation. Given the expanding pattern of kilns to meet demand in various places, it is estimated that kilns were built for long-term operation to meet the growing need for roof tiles, and kiln management became more organized.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비도성 일대 기와가마 현황
Ⅲ. 사비기 기와가마의 형식 분류와 변천
Ⅳ. 사비도성의 기와 생산과 가마 운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솔언(Lee, Soleon). (2021).백제 사비도성의 기와 생산과 가마 운영. 한국고고학보, 119 , 131-162

MLA

이솔언(Lee, Soleon). "백제 사비도성의 기와 생산과 가마 운영." 한국고고학보, 119.(2021): 131-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