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6세기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과 매장의례의 변천

이용수 518

영문명
Potter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Burial Rituals During the 5th to 6th Centuries in the Jinju A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여창현(Yeo, Changhyu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9집, 241~2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진주지역의 후기 가야 토기양식이나 집단의 변천에 관한 연구는 소가야양식 토기 범위라고 일컫는 고성을 포함한 남해안 일대와 경남 서부지역을 아우르는 넓은 범주에서 연구되어 왔다. 필자는 최근의 발굴 성과를 반영하여 시기별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주요 고분군의 성립과 변동에 따른 토기조합유형을 중심으로 매장의례의 변천과 고분군 축조 집단의 성격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토기 형식분류를 시도하고, 시기별 변화와 특징을 6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성립(Ⅰ~Ⅱ단계)은 아라가야의 지배층 무덤으로 알려진 말이산 고분군 내 잔자갈 관상을 설치한 대형목곽묘와 전환기 토기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 무렵(Ⅲ~Ⅴ단계)까지 토기복합체의 구성과 함께 특징적인 토기 조합유형이 나타나고, 다곽식 묘제의 출현과 토기제사법의 성립과정 속에서 일련의 매장의례가 공유된다. 5세기 후반까지 무촌 고분군 축조 집단은 생산(상촌리 토기 가마)· 유통 체계(고분군·소하천)가 형성되면서 중심고분군으로 성장하였고, 6세기가 되면 다곽식의 고총 고분이 축조되는 무듬산 일대의 가좌동 고분군이 중심고분군으로 대두된다. 고총 고분의 성립과 함께 토기 조합유형은더욱 정형화되고, 토기제사법은 봉토의 외부까지 확대되어 행해진다. 이후 토기양식이 쇠퇴·소멸(Ⅵ단계)되면서 새로운 묘제인 횡혈식석실묘가 도입되고, 정형화된 토기 조합유형과 매장의례는 사라지고 중심고분군은 수정동·옥봉 고분군으로 이동된다. 진주지역의 고분군 축조 집단은 한 세기 동안 특징적인 토기복합체를 무덤에 소비·부장하고, 정형화된 토기 조합유형을 매개로 매장의례를 공유하면서 변천한다. 또한 매장의례의 변화는 목곽묘에서 수혈식석곽묘로의 전환, 다곽식석곽묘의 성립, 새로운 묘제인 횡혈식석실묘의 출현 등 묘제의 변천과 깊게 관련된다.

영문 초록

The transformation of late Gaya pottery styles and groups in the Jinju area has been examined over a broad geographical range, covering the southern coastal region (including Goseong)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gaya-style pottery zone, and the region of western Gyeongsangnam-do. This paper proposes that Jinju area wa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 material complex distinct from other Sogaya areas, with a change in pottery taking place as the result of a change in the burial mounds. First, the pottery was classified into in six sta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as well as the overall nature of change, was examined. The establishment of Jinju pottery (Stages Ⅰ-Ⅱ) is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arge wooden tombs of the Marisan Burial Ground (known to be the tombs of Ara Gaya’s ruling elite) and transitional pottery found within. Later,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Stages Ⅱ-Ⅴ), a distinctive pottery complex came to be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 formalized type of burial. By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the group that constructed the tombs of the Muchon Burial Ground grew into a central group with the establishment of a production (Sangchon-ri pottery kiln) and distribution system; by the 6th century, the Gajwa-dong Burial Ground were form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tombs, the pottery complex associated burial mounds was further formalized, and pottery rituals were extended to outside the mound. Later, as the pottery style declined and disappeared, a new type of burial mound was introduced, and the formalized burial and pottery ritual methods disappeared. As a result, the Sujeong-dong and Okbong Burial Grounds emerged as the central tomb complexes. Over a century, the groups that constructed the ancient tombs in the Jinju area changed their status by sharing burial rituals which involved the formalized use of pottery. This sharing of burial rituals continued until the pottery style disappeared and collapsed; new central burial grounds subsequently emerged and new burial rituals came to be introduced.

목차

Ⅰ. 머리말
Ⅱ. 토기의 형식분류와 변화
Ⅲ. 시기별 토기 조합유형의 전개 양상과 특징
Ⅳ. 고분군 축조 집단의 매장의례 변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창현(Yeo, Changhyun). (2021).5~6세기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과 매장의례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119 , 241-267

MLA

여창현(Yeo, Changhyun). "5~6세기 진주지역 토기양식의 특징과 매장의례의 변천." 한국고고학보, 119.(2021): 241-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