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세기 김해지역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이용수 741

영문명
The Transition of the 4th Century Pottery Production System of the Gimhae Are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안한솔(An, Hansol)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9집, 211~24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남지역에서 3세기 후반 도질토기의 출현은 새로운 생산체계의 등장을 의미하며 4세기에 이르러 기존의 토기 생산체계를 대체한다. 이러한 과정은 함안, 김해, 그리고 경주 등지의 영남 전역에서 확인되며, 그 전개의시기와 양상은 지역마다 다르다. 특히 김해·부산지역은 대형고분군의 조사 및 연구성과가 풍부하여 2~5세기에 걸치는 여러 고분군이 확인된 바 있다. 시기적으로 공백이 적으며 비교적 안정된 편년안 역시 확립되었기에 와질토기가 도질토기로 전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적절하다. 기존 연구에서 와질-도질토기 생산체계의 대체·통합과 관련하여 일정 부분의 논의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두 생산체계의 공존에서 통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규명된 바가 없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4세기 김해지역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과정을 해명해 보고자 했다. 4세기의 주요 기종인 타날문단경호와 노형토기·노형기대를 대상으로 작업연쇄를 분석하여 본 결과 각각A~E와 a~d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3세기 후반부터 4세기에 걸친 토기유물군의 변화를 크게 Ⅰ~Ⅲ단계로 나누었을 때, 각 단계의 작업연쇄 및 제작전통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제Ⅰ단계에 새로운 생산체계와 작업연쇄의 출현을 보았다면, Ⅱ단계에서는 도질토기 생산체계가 와질토기 생산체계를 능가하여 확장됨으로써두 생산체계가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각 단계의 작업연쇄들이 변해 가는 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김해지역에서는 와질토기와 도질토기의 제작전통을 각각 유지한 별도의 생산조직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개별 생산체계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하다 최종적으로 도질토기 생산체계로 흡수·통합된 것으로 생각된다. 토기생산체계의 변화, 유통 문제의 이면에는 그것을 만들어 낸 기술이 있다. 따라서 생산체계의 관점에서어떻게 기술을 규명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 더욱 중요하며 꾸준한 고민과 검토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roughout the Yeongnam region, including the areas of Gimhae, Haman, and Gyeongju, a new pottery production system emerged in the second half of the 3rd century and the transition of this production system took place during the 4th century.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development. Since the Gyeongju area was dominated by the wajil (soft stoneware) pottery tradition until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the transition to dojil (stoneware) pottery occurred at a relatively slow pace. The Haman area already produced most of its vessel types as dojil war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but the pottery data from the previous period has yet to be confirmed. The Gimhae region, on the other hand, witnessed a gradual shift from the existing wajil pottery production system to the dojil pottery production system, making it a suitable case study area to undertake a detailed analysis in order to trace show changes in the production system. Discussions on the replacement and integration of wajil-dojil ware production systems have already taken place to a certain extent, but a detailed approach to the process has been absent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forming technique and the ceramic chaîne opératoire together. This study only focused on sites evidencing both wajil pottery and dojil pottery technology in the Gimhae area. In terms of pottery types, the beaten short-neck jar and brazier-shaped pedestal were selected as the main objects of analysis. Emphasis was placed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related forming techniques, and the marks of the surface of the potte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ceramic chaîne opératoire, attempts were made to explain the motions that constituted continuous change and the associated technical elements. Through this study, which attempted to explain the transition from wajil potter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dojil potte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y focus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technology, chaîne opératoire, and even ceramic production systems involve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at within the Gimhae area, there were clearly separate production organizations for wajil and dojil pottery that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and eventually integr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제작기술과 작업연쇄의 분류
Ⅲ.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과정과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한솔(An, Hansol). (2021).4세기 김해지역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한국고고학보, 119 , 211-240

MLA

안한솔(An, Hansol). "4세기 김해지역 토기생산체계의 전이." 한국고고학보, 119.(2021): 211-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