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세기대 울산식 토기의 유통

이용수 594

영문명
Distribution of Ulsan-style pottery in the 5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고상혁(Ko, Sanghyuk)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19집, 163~1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 연구에서 설정된 신라양식 경주식은 토기의 생산과 소비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매우 광역적으로 다루어졌다. 이로 인해 양식권 내에서도 소지역양식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하에 기장 명례리 유적에 주목하였다. 경주식 토기의 분포권으로 분류되었던 기장 명례리에서 생산된 이단투창고배는 경주의 전형적인 이단투창고배와 형태적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기장 명례리 유적 출토 이단투창고배를 전형의 경주식 이단투창고배와 비교하여 울산식 토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울산식 토기의 생산지를 추정하고, 주변지역에서 출토된 고배와 비교함으로써 울산식 토기의 분포권을 유통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울산식 이단투창고배는 형태적으로 경주식을 충실히 모방하였지만 전체 비율뿐 아니라 구연, 투창, 돌대, 각단 등에서 형태적 차이가 관찰되었다. 특히 높고 직립하는 구연, 상단은 짧고 하단이 긴 투창, 둥글고 높은돌대, 문양을 시문하지 않는 점이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울산식 토기의 생산은 기장 명례리와 장안리 일대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분포권은 울산을 중심으로 기장, 양산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울산식 토기의 분포권은 인접한 양산과 부산의 양식 분포권과 비교하였을 때 직선 반경 12km, 실거리 17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울산식 토기 분포권을 하나의 토기유통권으로 해석하였다. 생산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신라양식 내에서 울산식 설정은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며, 토기 양식도 연구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Gyeongju style’ Silla pottery, which was def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has been examined only very broadly from the viewpoint of potte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such,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pottery from the site of Myeongrye-ri, Gijang,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designation of sub-regional cultures is necessary within the wider culture zone. Th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produced at Myeongrye-ri, a site which is located within the distribution zone of Gyeongju style pottery, demonstrates differences from the example of the same pottery type found in Gyeongju. Therefore, attempts were made establish ‘Ulsan style pottery’ by comparing examples from Myeongrye-ri with the typical examples of the Gyeongju styl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Ulsan style pottery was examined in terms of circulation by inferring possible production sites of Ulsan style pottery and undertaking comparisons with the mounted dishes excavated from surrounding areas. Although the double mounted dish with openwork of the ‘Ulsan style’ was faithfully imitating examples from the Gyeongju area, morphological differences can be observed not only in the overall form, but also in the shape of the vessel lip, openwork, relief lines, and the base end. In particular, distinc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presence of high and upright lips, openwork with a short upper part and a long lower end, rounded and high relief, and an absence of pattern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Ulsan style pottery took place in the areas of Myeongrye- ri and Jangan-ri, in Gijang; the distribution area includes some areas of Gijang and Yangsan, centering on Ulsa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distinct pottery style zones were present in the area which had previously been classified as being part of the Gyeongju style zone. Compared with the pottery type distribution area of Yangsan and Busan, located adjacent to Ulsan,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Ulsan pottery type was established as follows: within a 12km radius around the main burial mound group, and 17km in terms of actual distance along the road. This area can therefore be interpreted as the pottery circulation zon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appears that the designation of ‘Ulsan style pottery’ as a sub-category of Silla pottery is indeed meaningfu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pottery styles’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목차

Ⅰ. 머리말
Ⅱ. 생산지 추정
Ⅲ. 울산식 토기의 설정
Ⅳ. 울산식 토기의 유통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상혁(Ko, Sanghyuk). (2021).5세기대 울산식 토기의 유통. 한국고고학보, 119 , 163-186

MLA

고상혁(Ko, Sanghyuk). "5세기대 울산식 토기의 유통." 한국고고학보, 119.(2021): 163-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