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0∼12세기 탐라의 대외교류

이용수 122

영문명
Foreign exchange of Tamra in the 10th to 12th centuries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고수미(Ko, Su-mi)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0권, 43~8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0∼12세기 탐라의 대외교류 양상을 분석하여 당시 탐라의 해양성과 해양활동의 실체를 모색하였다. 그간 고려전기 탐라와 고려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정치적 복속 여부, 복속 시기, 성격, 지배형태 등 수장체들간의 교섭관계를 다룬 논의였다. 하지만 ‘탐라민’이라고 불리는 사람들 또한 생업과 삶의 확장을 위해 바다로 나아갔다. 전근대 바다는 삶의 터전이었고 한정된 제주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의 세계였다. 당시 바다를 매개로 한 동아시아 교역 시스템 안에서 탐라는 나름의 모색을 통해 송-일본-고려 등 주변 국가와 교류를 하였으며 이들로부터 받아들인 선진문물은 탐라사회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지는 토대가 되었다. 고려는 건국 후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이는 팔관회의 외국인 조하의식에서 구체화되었다. 宋, 거란, 여진, 탐라, 일본, 대식국 등과 함께 팔관회의 진헌의례와 하사를 통해 조공무역으로 고려의 다원적 천하관을 구현하였다. 탐라는 이를 활용해 고려와의 관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고려를 찾은 타 국가와의 무역으로 경제적 이득을 얻었다. 탐라는 고려의 번국으로 조공-책봉 질서 안에서 기미지배권에 놓여 있었지만 독립국으로 존재하면서며 해양을 통한 교류활동을 지속하였다. 그 와중에 기상악화와 선박 파손 등으로 표류하여 송이나 일본에 표착하였는데 이는 의도하지 않았던 또 다른 교류의 기회이기도 하였다. 탐라는 12세기 중반 고려의 지방으로 편제되면서 독립국으로의 지위를 잃음과 동시에 해상활동 범위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고려정부의 과도한 공부와 수탈은 탐라인들의 반발을 불러와 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dissertation analyzes Tamra’s exchanges with other countries in the 10th and 12th centuries to explore the maritim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Tamra’s maritime activities.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mla and Goryeo, which had been held between the 10th and 12th centuries, was mainly focused on the political part. However, people called the Tamra people also went to the sea to make a living and expand their lives. The nameless Tamra people risked trading across the sea to neighboring countries. The pre-modern sea was a place of life and a world of possibility to expand the limited area of Jeju. At that time, Tamra interacted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Song, Japan, and Goryeo through its search in East Asia trade system based on the sea, and advanced civilization accepted from them stimulated Tamra’s culture and became the foundation for a new culture. After the foundation of Korea, Goryeo wanted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status embodied in the Palgwanhoe’s(八關會) foreign participation event. Merchants who visited Goryeo from Song(송), Kitani(거란), Durchin(여진), Tamra, Japan, and Arabia(大食國) strengthened their tribute Trade and embodied the multi-pronged worldview of Goryeo through a gift-giving event to the king at Palgwanhoe. Tamra took advantage of thi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relations with Goryeo, earning economic benefits from trade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at visited Goryeo. Although Tamra was ruled by Goryeo, it continued its exchange activities through the sea as it existed as an independent country under the system of appointing tributes and kings. The weather deteriorated and the ship was damaged and drifted to Sung(宋) and Japan, which also gave another opportunity for exchange. Tamra became a province of Goryeo in the mid-12th century, losing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country, and the scope and appearance of maritime activities were greatly reduced. The Goryeo government’s heavy tax collection and exploitation caused opposition from Tom Line, which led to a rebellion.

목차

Ⅰ. 머리말
Ⅱ. 탐라의 해양교류와 지향점
Ⅲ. 10∼12세기 탐라의 교류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수미(Ko, Su-mi). (2021).10∼12세기 탐라의 대외교류. 동국사학, 70 , 43-84

MLA

고수미(Ko, Su-mi). "10∼12세기 탐라의 대외교류." 동국사학, 70.(2021): 43-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