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류와 진상·조공 품목

이용수 117

영문명
Tamra Kingdom’s Foreign Exchange and the Items of Diplomatic Gifts in the 5th to 8th Centur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승호(Lee, Seung-ho)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0권, 5~4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5~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주변국과 교류 과정에서 전달한 탐라국의 진상·조공품에 대하여 접근해 보았다. 특히 탐라국 대외교류에 대한 그간의 연구가 백제사나 신라사 혹은 일본사의 관점에서 접근되어 온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5~8세기 탐라국을 둘러싼 국제 정세를 탐라국 중심의 시선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대외 교섭에 활용되었던 탐라국 특산품은 무엇이었는지 검토하였다. 먼저 5~6세기 탐라국의 대외교섭은 백제와 고구려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러한 교섭의 동인과 전개 과정은 탐라국의 주체적인 정세 판단과 대외교섭 노력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476년 백제와의 첫 교섭을 계기로 5세기 후반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를 인지한 탐라국이 5세기 말경에 백제가 아닌 고구려를 주요 교섭 대상으로 설정하고 ‘珂’를 진상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한편, 660년 백제 멸망을 기점으로 탐라가 신라와 일본 및 당을 상대로 다각적인 교섭을 진행하며 급변하는 정세에 대응하고 있었음도 확인하였다. 특히 일본과의 교섭 과정에서 탐라국은 耽羅方脯·耽羅鰒 등의 자국 특산물을 활용하였으며, 이와 함께 牛·鹿·鰒·海藻 등이 당시 탐라의 주요 산물이자 대외교섭에 활용된 진상·조공품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amra(耽羅) Kingdom’s foreign exchange in the 5th to 8th century and also its diplomatic gifts(進上品) delivered to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the exchange. In particular, this author points out the fact that research on Tamra Kingdom’s foreign exchange has tended to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Baekje(百濟), Silla(新羅), or Japanese history and attempts to investigate international situations around Jeju Island(濟州島) in the 5th to 8th century from the standpoint of Tamra Kingdom. First of all, Tamra Kingdom’s foreign negotiation was carried out to Baekje and Goguryeo(高句麗) in the 5th to 6th century, and the motive of such negotiation and process of its development have been found to be grounded on Tamra Kingdom’s independent judgment about the conditions and effort for foreign negotiation. Particularly with the chance of its first negotiation with Baekje in 476, Tamra Kingdom recognized the dramatically changing situa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5th century, and around the end of the 5th century, it is supposed that it established not Baekje but Goguryeo as its main target of negotiation and offered ‘Okga(玉珂)’ as a diplomatic gift. Meanwhile, it is also found that with Baekje’s collapse in 660 as a starting point, Tamra performed multilateral negotiation with Silla, Japan, and Tang(唐) Dynast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its negotiation with Japan, Tamra Kingdom used its national specialties such as Tamra-Stockfish(耽羅方 脯) and Tamra-Abalone(耽羅鰒), and supposedly, along with those, items like cowhide(牛皮), deer skin(鹿皮), or seaweed(海藻) should have been adopted not only as Tamra’s main products but diplomatic gifts for foreign negotiation at tha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5~6세기 耽羅國의 대외교섭과 涉羅의 ‘珂’
Ⅲ. 7~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섭과 ‘耽羅鰒’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호(Lee, Seung-ho). (2021).5~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류와 진상·조공 품목. 동국사학, 70 , 5-41

MLA

이승호(Lee, Seung-ho). "5~8세기 耽羅國의 대외교류와 진상·조공 품목." 동국사학, 70.(2021): 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