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近世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와 ‘全鰒’의 길

이용수 35

영문명
The marine world of early-modern Northeast Asia and the ‘abalone’ road: focusing on Jeju Island around the 15 century
발행기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임경준(Lim, GyungJune)
간행물 정보
『동국사학』제70권, 85~11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元明交替 이후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의 변화 속에서 제주도 사회경제가 어떻게 재편되었는지를 특히 제주도의 특산품인 전복을 비롯한 해산물이 이동한 길에 주목하여 살펴보는 데 있다. 15세기 이전 제주도의 사회경제는 海産物의 채취와 교역이 기층에 자리 하면서 大元의 지배 이후 말 목장 경영이 활발해짐에 따라 말의 進上과 교역이 그 위에 표층을 이루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바다와 섬이라는 지리적 요인에 더하여 열악한 토지 생산성이라는 자연환경적 요인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시 말해 15세기 이전 제주도는 ‘交易品’과 ‘進上品’이라는 두 갈레의 길 위를 교차하는 ‘물품’들에 의해 사회경제의 기본구조가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동북아시아 해역 속에서 제주도의 위치가 변화를 맞이하는 계기는 元·明 교체에 의한 朝貢-海禁 체제의 구축이다. 종래 국가 간의 公貿易 뿐만 아니라 민간 간의 私貿易도 자유롭게 이루어지던 동북아시아 해역은 새롭게 성립된 明朝 정권의 강고한 정책 전환으로 인하여 일체의 대외교역이 국가 간의 公貿易으로 일원화된다. 이 과정에서 제주도의 영유권을 차지한 朝鮮王朝는 이 지역에 貢納制에 기반을 둔 수취체제를 시행하면서 제주도 지배를 관철해 나간다. 그 결과 이제까지 제주도산 전복이 이동하던 주요한 ‘길’이었던 ‘交易品의 길’과 ‘進上品의 길’ 중에서 전자가 역내 교역으로 축소되며 후자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 해상교역의 결절점으로서 제주도가 갖고 있던 지위의 상실을 ‘전복의 길’의 변화를 통해 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socioeconomy of Jeju Island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maritime order of Northeast Asia since the 15th century, especially focusing on the migration path of marine products such as abalone. Before the 15 century, the trade of marine products was the foundation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Jeju Island. However, after the Mongol Empire established its rule over Jeju Island, tributes became more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Jeju Island surrounded by the sea,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poor land productivity also affected the background. In other words, before the 15 century, the basic socioeconomic structure of Jeju Islan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movement of trade goods and tributes.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maritime exclusion-tribute for the court by the Ming Dynasty can be a clue to the changing position of Jeju Island in Northeast Asian sea areas. Traditionally, not only public trade but also private trade was freely carried out in the Northeast Asian sea areas. However, as the Ming Dynasty changed its policy to severely restrict private trade, the foreign trade of Northeast Asia changed drastically. However, by the Ming Dynasty’s policy of severely restricting private trade, foreign trade in Northeast Asia would be unified into public trade. Under such circumstances, Joseon Dynasty, which took control of Jeju Island, established a tax collection system based on the tributary system. As a result, the nature of marine products such as abalone that have been collected from Jeju Island will be changed from trading goods to tributary goods. At the same time, the way these things moved was also changed from the way of trade goods to the way of tribute goods. In other words, Jeju Island’s position in the maritime world of Northeast Asia can be read from the change in the path where abalones move.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15세기 이전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와 제주도
Ⅲ. 明初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의 변동과 제주도 사회경제
Ⅳ. 제주도에서의 貢納制 착근과 ‘全鰒’의 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경준(Lim, GyungJune). (2021).近世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와 ‘全鰒’의 길. 동국사학, 70 , 85-114

MLA

임경준(Lim, GyungJune). "近世 동북아시아 해역질서와 ‘全鰒’의 길." 동국사학, 70.(2021): 85-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