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이용수 4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tance learning for string & wind majors in the college of music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이명진(Myung Jin Lee) 권수미(Sumi Kw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7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으로 인해 지난 2020학년도 2학기 전국 33개교 음악대학(음악학과, 예술학과 등)에서 운영한 관현악 실기 전공 관련 강좌들을 지도한 교강사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원격수업 운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대학 음악실기 원격교육의 발전적 개선 방향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관현악 전공이 개설된 우리나라 음악대학(음악학과) 33개교에 재직 중인 교강사 7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음악실기 강좌 원격수업진행을 위한 정보 습득방법과 대학의 지원, 대학별 연습실 관리, 강좌별 교수방법 및 교수 전략 등에 대한 교강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확대가 이루어졌으나, 대학 음악전공 실기 지도강좌를 운영하는데 최상의 교육방법은 절대적으로 대면 수업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음대 교강사들도 원격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롭게 추가되는 교육 기기와 매체 활용에 충분히 익숙해져서 학생들에게 양질의 직접적 교육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 music practice remote education by examining the status of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for string & wind majors operated by 33 music universities nationwid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due to COVID-19. To this end, 73 teachers working at 33 Korean music universities (music departments) where orchestral music majors were established were research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university support, practice room management,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COVID-19 Incident has raised a new awareness of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distance classes, but it is undeniable that the best way to teach a college music major practical instruction class is face-to-face. However, we suggest that music school instructors need to be familiar enough with the use of new educational devices and media as they can to provide students with high-quality direct educational experiences in remot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 분석 및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 COVID-19 상황에서 프리랜서 유아 음악강사들이 직면한 위기의 삶과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기 창작가곡에서 한국적 예술가곡으로: 박태준 가곡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