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이용수 694
- 영문명
- Analysis of YouTube contents u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keyword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경태(Kyoungtai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7호, 83~1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악 교육을 주제로 하는 유튜브 채널과 콘텐츠를 분석하여 유튜브 콘텐츠의 활용과 제작의 방향성에 대한 논제 선정 및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국악 교육을 주제로 한 10개 채널, 총 264개의 콘텐츠를 연구 대상으로 주제, 활동 영역, 내용제시 방법, 공개 시기, 콘텐츠 길이, 조회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주제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성악을 다룬 콘텐츠가 가장 많았으며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가창 영역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둘째, 내용제시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자유강의형이 가장 많았으며 2020년 이후 공개된 콘텐츠는 실제 학교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진행자가 적극적으로 수업 내용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개 시기, 콘텐츠 길이, 조회수를 분석한 결과 2020년 이후 공개된 콘텐츠의 수와 콘텐츠별 재생 길이가 급격히 늘었으며, 감상을 주제로 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수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더욱 다양한 주제·활동 영역의 콘텐츠와 교사 주도용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하며, 더 다양하고 발전된 국악 교육이 진행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bsequent research and selection of topics on the use and production direction of YouTube contents by analyzing YouTube channels and contents with the the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this end, 10 channel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a total of 264 contents were analyzed for the subject, activity are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contents released time, content length, and number of view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content, the contents that dealt with vocal music were the most, a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it based on the activity area, the contents in the singing area were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the content presentation method was varied by channel, but the content released after 2020 was developed in a way that the content host actively presents the class content so that i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actual school class.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release time, content length, and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published content and the length of content have increased rapidly since 2020,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views of content with the subject of appreciation was the highes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advanced Korean music education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ntents for various subjects and activities and contents for teacher-led activities,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YouTube contents currently being sha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 COVID-19 상황에서 프리랜서 유아 음악강사들이 직면한 위기의 삶과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기 창작가곡에서 한국적 예술가곡으로: 박태준 가곡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