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이용수 1366
- 영문명
- Development of Realistic Contents for Singing Learning based on V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신기호(Giho Shin) 민경훈(Kyunghoon Min) 김영후()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7호, 2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비대면 가창학습을 위한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용이한 교육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COVID-19 상황으로 인한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 교수․방법적인 어려움을 알아보고, 코로나 시국에 소홀히 다루어졌던 음악교과 가창영역과 관련하여 가상현실의 몰입과 현실감을 통해 폭넓은 음악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5개의 가창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5개의 콘텐츠는 ‘바른 자세와 호흡’, ‘발성과 제재곡 학습’, ‘교사 시범창과 부분 연습’, ‘가창학습 심화 콘텐츠-1(녹음 스튜디오)’, ‘가창학습 심화 콘텐츠-2(이탈리아 곤돌라 체험)’로 구분된다. 이 가창학습 콘텐츠는 가상현실 기기에서 뿐만 아니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도 손쉽게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창학습 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음악교육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and develop a VR-based singing learning module for non-face-to-face singing classes and to implement an easy-to-access education platform for actual use in school sites. To this end, it developed that five singing learning module contents to examine teaching difficulties in school to respond the COVID-19 situation. The contents were easily available not only on VR-devices but also on computers and mobile, and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at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al content is valuable as future educational content in response to the hyper-connectivi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development is a learning module designed to provide learners with a wide range of music experiences in the singing and expression areas, not content for simple convenience of teachers or one-time educational content in non-face-to-face situations. It was developed by specifying the actual needs of school teachers and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의 실제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 COVID-19 상황에서 프리랜서 유아 음악강사들이 직면한 위기의 삶과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기 창작가곡에서 한국적 예술가곡으로: 박태준 가곡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