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이용수 624
- 영문명
- Alteration on Music Education Policy in School Art Education Promo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이현수(HyunSu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7호, 149~1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부가 발행한 문서인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과의 정책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2015년까지는 주로 지원 학교의 수와 금액을 늘리는 양적 성장에 중점을 맞추다가 2016년 이후 음악 프로그램과 학생 만족, 그리고 교사교육과 같은 질적 성장을 도모하였다. 정책 초기의 배경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인성의 함양에서 학생의 예술적 가치인식을 중점으로 이동하였다. 오케스트라 중심에서 연극, 뮤지컬, 예술동아리, 예술중점학교로 확대되었다. 정책 중기에는 누적된 음악예술인프라를 사용하여 음악적 발달을 기록하고 사업 컨설팅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교육부의 정책을 살펴본 바, 신규 학교와 자생적 학교에 대한 지원 혼재, 수요자 중심적 음악교육, 악기 편향적 지원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보완 사항으로 장기적인 계획과 예산 편성, 다양한 음악 영역에 대한 지원,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부와 교사집단 상호 간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policy changing in the Department of Music in the School Arts Education Promotion Plan, a document issued by th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1 to 2020, and to find problems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until 2015, the focus was mainly on quantitative growth by increasing th number and amount of schools supported, but after 2016, qualitative growth such as music programs, student satisfaction, and teacher education was pursued. Background of the initial policy began with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for social requirement, then shifted to the student’s artistic value recognition. It expanded from the center of the orchestra to the musical, theater, art club, and art school. On the mid-term, the accumulated music and arts infrastructure was used to record musical development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business consulting. After the policy review, problems of mixed support for new and self-sustaining schools, consumer-focused music education, and musical instrument-biased support appeared. In order to improve these,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planning and budgeting, support for various music areas, and mutual effor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group for music programs we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예술교육 활성화 추진 초기 계획(2011-2015)
Ⅲ. 예술교육 활성화 추진 중기 계획(2016-2020)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 COVID-19 상황에서 프리랜서 유아 음악강사들이 직면한 위기의 삶과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기 창작가곡에서 한국적 예술가곡으로: 박태준 가곡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