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이용수 4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ue Elements of Music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윤성원(Sungwon Yo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47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과교육의 가치요소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의 가치와 공교육 시스템에서 교과교육으로 작동하는 음악교과교육의 가치, 그리고 하이테크놀로지, 환경, 내용, 방법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과교육의 가치에 대하여 그 효력 발생에 필요한 성분 혹은 근본 조건이 될 가치요소에 대해 연구결과로서 논의한다. 우선 가치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 플랫폼과 혁신 창의에 대해 논의할 것을 제안한다. 음악교과교육은 4차 산업혁명시대 3R과 4C, 6개의 역량을 포함한 인간의 사상과 감정 등을 음악이라는 재료, 도구나 기제로 융합할 수 있으며, 이를 플랫폼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이에 융합 플랫폼이 음악교과교육의 가치요소라는 논리를 전개한다. 또한 혁신 창의의 논의에서 연구자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다양한 하이테크놀로지에서 빅데이터를 예시로 음악교과교육의 혁신 창의에 대해 언급한다. 이로써 혁신 창의가 음악교과교육의 가치요소로 적당하다는 논리를 전개한다. 이는 교과의 고유성을 전제로 교과의 보편성, 교육적 시사성을 함의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elements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first provided theoretical reviews about high technology, environment, content and methodology in addition to the values of education and those of music subject education serving as part of subject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n the study discussed the components needed by the valu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to generate its effect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r their fundamental conditions as its value elements. After discussing what its value elements were, the study used the results to propose to discuss a convergence platform and innovative original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usic subject education can promote the convergence of human ideas and emotions including 3Rs, 4Cs, and six competencies through the material, tool or mechanism called music and offers a proper way to use it as a platform. The study thus developed the logic that a convergence platform was a value element of music subject education. Discussing innovative originality, the investigator mentioned innovative originality in the music subject education with the example of Big Data among the various high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developed into the logic that innovative originality was fit as a value element of music subject education, which implies the universality and educational suggestion of subjects based on the premise of their unique na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악대학 관현악 실기전공 관련 강좌 원격 교육 운영 실태 연구
- 가상현실(VR) 기반의 실감형 가창학습 콘텐츠 개발
- COVID-19 상황에서 프리랜서 유아 음악강사들이 직면한 위기의 삶과 극복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4차 산업혁명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요소에 관한 연구
-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 초등학교 음악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모형 개발
- 대중음악밴드 기반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과 참여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 음악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특성불안과의 관계
- 중학생의 문화예술활동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기 창작가곡에서 한국적 예술가곡으로: 박태준 가곡에서 나타난 시와 음악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