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조절 효과 분석

이용수 736

영문명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Job-Match Employment, and Major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정은하(Jeong, Eunha) 김이경(Kim, Eegyeong)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7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 직무일치 취업이 서로 관련이 있으며, 전공만족도가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매개 또는 조절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세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 중 2018년도에 수집된 4년제 대학교 졸업자 10,181명의 응답 자료를 토대로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직무일치 취업 정도와 전공만족도 수준은 보통 이상이었고, 내재적 동기에 의해 전공을 선택하는 학생은 절반 이하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재적 동기에 기반한 전공 선택은 전공만족도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전공선택 동기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 중 전공일치 취업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직무일치 취업의 하위요소인 교육일치, 기술일치, 전공일치 취업과 모두 정적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전공만족도는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일치 취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지만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전공 관련 분야로 취업할 수 있는 동인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는 전공선택 시점의 내재적 동기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대학 입학 후 전공만족도 증진을 통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진로교육 강화, 대학차원에서의 전공선택 지원제도 마련, 전공교육의 질 제고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job-match employment, and major satisfaction. Utilizing responses from 10,181 university students surveys collected 2018GOM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less than half of the students choose their major according to their intrinsic motivation. Secondly, choosing a major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crease in major satisfaction. Thirdly,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ajor-match among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Fourthly,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ub-elements of job-match employment, such as education-match, technology-match, and major-match employment. Fifthly, major satisfac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match employment, a sub-element of job-match employment, but no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such as reinforcing career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major educ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하(Jeong, Eunha),김이경(Kim, Eegyeong). (2020).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조절 효과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7 (4), 1-25

MLA

정은하(Jeong, Eunha),김이경(Kim, Eegyeong).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무일치 취업과의 관계 및 전공만족도의 매개‧조절 효과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7.4(2020):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