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현장 정착을 위한 학교 사례 연구 -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이용수 2160

영문명
A Study on the School Ca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유동훈(Yoo, Dong-Hoon) 김은수(Kim, Eun-Su) 모영민(Mo, Young-Min)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7권 제4호, 419~44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현장 정착을 위해 갖추어야 할 제반 요소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선택형 교육과정 운영을 담당한 어느 고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그 내용을 Hoy & Miskel(2013)의 학교사회체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투입’ 측면에서는 행·재정적 지원 확대, 온라인 교육 축소, 통합과목 개선, 대입 연계성 강화, 교원 재교육 내실화, 고교별 정보 공개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구조’ 측면에서는 수강 신청 시스템 운영, 교육과정설명회 개최, 공강 관리 준비 등을 지적하였다. ‘개인’ 측면에서는 교사의 다수 과목 지도, 교육과정 참여, 진학 상담 강화 능력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문화’ 측면에서 교사 간 상호 이해와 배려 문화,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 소통과 정보 공유 등이 강조되었다. ‘정치’ 측면에서 학교관리자의 소신과 의지, 교직원의 강한 동의와 추진력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 다.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과목 개설의 자율권 강화, 내신 절대 평가 실시, 학생 중심 수업의 개발 등이 지적되었다. 셋째, 고교학점제가 현장에 정착된다면 예상되는 결과로는 학생 진로와 적성에 맞는 교육 실현, 교육의 본질적 기능 강화, 전문성에 기반한 교권의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factor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the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elective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with model of Hoy & Miskel(20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need to exp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nternalize teacher re-education. Second, in terms of structure , the operation of a course application system, and holding a course briefing session were pointed out. In terms of individuals , it was said that teachers ability to guide many subjects, and strengthen counseling was necessary. In terms of culture,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culture,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were emphasized. In terms of politics, it was said that school managers beliefs and wills, and drive of faculty members are needed. In terms of professor-learning , it was pointed out that the autonomy of opening subjects was strengthened, and the absolute evaluation of school records was conducted. Third, i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settled, the expected results were to realize education suitable for students career and aptitude, and strengthen the teaching authority based on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동훈(Yoo, Dong-Hoon),김은수(Kim, Eun-Su),모영민(Mo, Young-Min). (2020).고교학점제 현장 정착을 위한 학교 사례 연구 -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정치학연구, 27 (4), 419-449

MLA

유동훈(Yoo, Dong-Hoon),김은수(Kim, Eun-Su),모영민(Mo, Young-Min). "고교학점제 현장 정착을 위한 학교 사례 연구 -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정치학연구, 27.4(2020): 419-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