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니체의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이용수 686

영문명
F. Nietzsche’s Master Morality and Slave Morality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상철(Sang-Cheol Par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163~17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일어 ‘마흐트(Macht)’는 니체의 사고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개념 중의 하나로서, 우리말의 ‘권력’ 또는 ‘힘’으로 번역된다. 니체의 이 개념은 주인도덕-노예도덕의 구분과 관련지을 때 구체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마흐트는 ‘거리의 파토스’에서 발생하는 힘을 가리키며, 주인도덕과 노예도덕은 그 힘이 표출되는 방향의 차이로 규정될 수 있다. 즉, 주인도덕은 거리의 파토스에서 발생하는 힘이 자기극복의 방향으로 표출되었을 때 드러나는 행위의 방식이며, 노예도덕은 그 힘이 차이를 없애는 방향으로 표출되었을 때 드러나는 행위의 방식을 가리킨다. 니체가 보기에, 학교교육은 주인도덕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하며, 그 일은 교사와 학생의 정신적 거리와 긴장이 팽팽하게 유지될 때 올바르게 수행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German word ‘Macht’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Nietzsche’s system of thought and is translated into ‘power’ in English. This concept of Nietzsche can be understood more concretely when it relates to the distinction master morality and slave morality. ‘Macht’ refers to the forces that occur in the ‘pathos of distance’; master morality and slave morality can b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expressed. In other words, master morality is a way of acting revealed when the power generated in the ‘pathos of distance’ is expressed in the direction of self-overcoming, and slave morality indicates the way of acting revealed when the power is expressed in the direction of eliminating the difference. In Nietzsche’s view, schooling must aim at restoring and maintaining master morality, which can be performed correctly when the mental distances and tens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remained intensely.

목차

Ⅰ. 서론
Ⅱ. 참된 세계와 가상 세계
Ⅲ. 거리의 파토스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철(Sang-Cheol Park). (2017).니체의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도덕교육연구, 29 (4), 163-178

MLA

박상철(Sang-Cheol Park). "니체의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도덕교육연구, 29.4(2017): 163-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