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우크쇼트의 미학: 삶의 모형으로서의 시

이용수 125

영문명
A Study of Michael Oakeshott’s Aesthetics: Poetry as a Model of Life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조영태(Young-tae Cho)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121~16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우크쇼트는 과학, 실제적 활동 등의 양상적 경험들 사이의 관계를 대화로 파악한다. 양상적 경험들은, 각자 독자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대의 목소리를 경청해주는 등, 조화와 질서의 관계를 유지하되, 제 3자의 개입 없이도 그러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양상적 경험들에서 언어(목소리)와 문헌(발언 내용)이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 조건으로 요청되는데, 오늘날의 현실에서는 이 조건이 충분히 충족되지 않아, 실제적 활동과 과학이 독판을 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그로 인해 오늘날 특히 시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게 되었다. 시(예술)는, 우선, 존중받아야 할 하나의 떳떳한 양상이며, 나아가서, 특별히 존중받아야 할 특이한 양상이다. 시에서는 언어와 문헌이, 혹은 형식과 내용이 아예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시는 양상 아닌 양상으로, 하나의 양상이되 대화 그 자체이다. ‘예술성’은 ‘대화성’(그리고 ‘유희성’)과 거의 바뀌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인간 활동(과학, 실제적 활동 등)은 시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곧 대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인간 활동을 이렇게 파악하는 것을 시적 삶의 모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시적 삶의 모형과 메타프락시스적 담론 형식 사이에는, 최소한, 모형(담론 형식)으로서의 동일성이 발견된다. 오우크쇼트와 메타프락시스적 담론 형식은 같은 말을 다른 문체로 내어놓는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Michael Oakeshott, the relation between two modes of experience ― for example between science and practical activities, or between science and history ― must be understood as a kind of conversation. Modes of experience, in spite of each having its own voice, sustain harmony and order among them, listening to each other’s voice, without the intervention or help of the third party. So, their relations are conversational relations. But to sustain harmony and order among them, that is, to sustain conversational relations among them, language(voice) and literature(utterances) in each modes must not be separated. Today, this condition is not being fulfilled and so, modern world suffers from imperialism of practical activities and imperialism of science. Especially voices of poetry have seldom been heard of. Poetry(arts in general) must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mode of experience, and must be accepted as a special gifted kind of mode. Because in poetry, language(voice) and literature(utterances) cannot be distingushed. Or in poetry, contents and forms cannot be distinguished. Poetry is a mode and at the same time conversation itself, paradoxically. Every modes of experience including science and practical activities have poetic characters, which means, every modes of experience are conversable, according to poetic model of life. Poetic model of life and metapractical mode of discourse are very similar in ways of thinking. They express same meanings in different styles.

목차

Ⅰ. 서론: 실제적인 것, 이론적인 것, 시적인 것
Ⅱ. 놀이
Ⅲ. 대화
Ⅳ. 시
Ⅴ. 삶의 모형으로서의 시
Ⅵ. 결론: 시적 삶의 모형과 메타프락시스적 담론 형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태(Young-tae Cho). (2017).오우크쇼트의 미학: 삶의 모형으로서의 시. 도덕교육연구, 29 (4), 121-162

MLA

조영태(Young-tae Cho). "오우크쇼트의 미학: 삶의 모형으로서의 시." 도덕교육연구, 29.4(2017): 121-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