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라톤 「메논」의 교육학적 해석

이용수 563

영문명
The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Plato’s Meno: Virtue and Recollection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장성모(Sung-Mo Chang)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187~2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메논」은 대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에 비추어 보면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메논」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될 수 있다. 첫 부분은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를 묻는 메논의 질문으로 시작하여 덕의 본질에 대한 무지를 고백하는 메논의 아포리아로 끝난다. 중간부분은 메논의 논의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메논의 파라독스, 회상, 영혼 불명의 개념이 논의된다. 노예소년과의 대화와 회상과 영혼불멸에 관한 논의는 단순히 메논의 파라독스를 논리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메논으로 하여금 영혼의 힘과 그것의 역동성을 대면할 수 있게 하는 극적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맨 처음에 제기한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질문을 교사의 존재에 비추어 새롭게 탐색하고 있다. 올바른 의견과 신의 시여, 그리고 교사의 부재에 관한 논의는 아테나이의 정치와 교육의 현실에 관한 플라톤의 염려 뿐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덕을 자신의 삶과 존재방식으로 보여주고 가르쳐 온 교사로서의 소크라테스의 존재에 대한 플라톤의 소망과 사랑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한마디로, 플라톤의 「메논」은 아테네의 젊은이와 시민들에게 지식으로서의 덕의 본질을 자신의 존재방식과 삶의 자세로 보여주고 가르치는 일에 헌신해 온 소크라테스의 존재와 삶의 가치를 극적으로 정당화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Plato’s Meno in view of education. Meno has a peculiar structure with regard to the participants of dialogue. In the first part of Meno, Meno as an arrogant pupil of Gorgias wants to talk about the question of whether can virtue be taught, with Socrates. Meno cannot simply indulge in sophistic idle talk because of facing Socrates. In the presence of Socrates, the man of knowledge who claim to be ignorant, and in the presence of this educator who does not educate, the topic of dialogue is transformed into a profoundly serious search.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can be taught transformed into the question, “what is essential nature of virtue?” And the examination of the substantive point at issue become a test of the human being himself. The various attempt to define the essential nature of virtue and the person himself who is pursuing the inquiry becomes transparent in the presence of Socrates. The second part of Meno, the middle and central part of the dialogue, goes beyond the level of Meno’s ‘aporia’(아포리아) in the dialogue about the geometry of Socrates and Meno’s slave boy. The dialogue about the geometry of Socrates and slave boy is prepared to dissolve ‘the Meno’s paradox’. The concept of ‘recollection’(회상) discussed in this section is not to expla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eaching logically, but to illuminate and show the dynamic nature and power of soul’s immortality so that Meno could see it, dramatically. The concluding part of Meno seeks an answer to the qustion posed at beginning. The dialogue about the existence of teacher is not to negate the possibility of knowing and teaching of virtue itself, bu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existence in educating the virtue as a knowledge. Socrates’ statement that virtue is ‘a gift from gods’(신의 시여) reveals both the Plato’s worry about the reality of politics and education of Athenai and his hope and love of Socrates as a teacher, simultaneously. In short, Meno is a Plato’s dialogue justifying the existence and life of Socrates as the teacher who shows and teaches Athenian people that the essence of virtue is knowledge, in his own way of existence and life.

목차

Ⅰ. 문제 의식
Ⅱ. 덕의 의미
Ⅲ. 덕의 의미와 회상설
Ⅳ. 덕의 교육과 교사의 존재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모(Sung-Mo Chang). (2019).플라톤 「메논」의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31 (2), 187-210

MLA

장성모(Sung-Mo Chang). "플라톤 「메논」의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31.2(2019): 187-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