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산 지역 박물관의 생활문화자료 수집과 활용 증대 방안 - 구술자료를 기반으로 한 구술전시를 중심으로 -

이용수 164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collect and use tangible·intangible cultural data in the Busan Regional Museum -Focused on exhibits utilizing oral statements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정성미(Jeong, Seong-mi)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37호, 55~7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물관에서는 선사․고대부터 근․현대시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와 문화를 소개할 수 있는 생활문화자료를 전시 오브제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구술조사가 가능한 생활문화자료의 유형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부산 지역 박물관에서는 이 자료를 어떻게 접근하고 전시하고 있는지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 뒤 구술자료 수집과 구술전시 활용의 증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술전시는 해당 오브제에 담긴 이야기로 전시주제에 대한 의미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관련 인물에 주목하게 하는 연출 방법이다. 구술전시의 소재가 되는 구술자료의 여러 가지 특징 중 서술성은 지역, 연령, 계급․계층, 젠더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개인의 주관적 경험담을 통해 ‘문화’를 접하고 이해하며 해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공간의 제약으로 단절된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를 맺어주고 소통할 수 있게 하여 파편화된 장소기억을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박물관에서는 구술전시를 통해 지역정체성을 여러 단계의 층위로 세분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더욱이 지역주민인 관람객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대와 외부 관광객과도 소통할 수 있는 주제를 적극적으로 찾고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박물관에서는 지역의 대표적인 근현대 생활문화자료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Museums utiliz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that can introduce various forms of history and culture from prehistoric and ancient times to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s exhibit objets. This study particularly looked into current conditions to observe how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e related data is being approached and exhibited and inspections were made on the significance of exhibits and improvement plan for collect and use tangible․intangible cultural data in the Busan Regional Museum. Exhibits utilizing oral statements effectively deliver exhibit topics using stories that embrace relevant objets and they are a direction method that brings focus to related characters.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oral statements, descriptions reveal region, age, class·stratum, gender identity and allow ‘culture’ to be encountered,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subjective stories of individual experiences. Also, they form relationships among people who have been disconnected due to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allow for communication, being effective in restoring fragmented location memories. Museums make observations by subdividing local identity into layers of various stages through exhibits that utilize oral statements and further, spectators that are local residents actively search for and materialize topics that can be communicated with diverse generations and outside spectators. Therefore, relevant museums should conduct in-depth research on the representativ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angible·intangible cultural data of the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생활문화자료의 유형별 주요특징과 관리실태
Ⅲ. 부산지역 박물관의 생활문화자료를 활용한 구술전시 현황
1. 과거사 진상 규명과 관련한 구술전시
2. 부산의 향토음식으로 새롭게 보는 지역의 역사
3. 박물관의 구술조사와 상설전시와의 낮은 연계성
4. 전시에서 구술을 활용한 새로운 실험, 독립운동가 5인의 대화
Ⅳ. 생활문화자료를 활용한 구술전시의 특성과 구술자료 활용
1. 생활문화자료를 활용한 구술전시의 특성
2. 구술자료 수집과 구술전시 활용 증대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미(Jeong, Seong-mi). (2019).부산 지역 박물관의 생활문화자료 수집과 활용 증대 방안 - 구술자료를 기반으로 한 구술전시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37), 55-79

MLA

정성미(Jeong, Seong-mi). "부산 지역 박물관의 생활문화자료 수집과 활용 증대 방안 - 구술자료를 기반으로 한 구술전시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37(2019): 5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