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기반 박물관에서의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용수 723

영문명
A Case study of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at A Community-based Museum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서진선(Suh, Jinseon) 강인애(Kang, Inae) 최지혜(Choi, Jihye)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37호, 105~1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정치, 사회, 문화예술 분야는 참여라는 새로운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여 이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 역시 학습자의 참여를 넘어서 지역 연계를 통한 사회적 참여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박물관 역시 구성주의에 기반하여 ‘개별’ 관람객에 초점을 둔 관람객 중심 박물관을 넘어, 관람객, 박물관, 지역사회가 상호 연결⋅소통하는 ‘참여적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그곳 커뮤니티와의 연계가 용이한 지역기반 박물관을 활용하여,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사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ina Simon(2015)이 제안한 참여적 박물관의 5단계(From me to we)와 4가지 참여적 박물관 유형 중 공동제작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설계원칙을 수립하였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설계는 구성주의 학습모형으로서 지역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으로 적합한 Buck Institute의 지역기반의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기반 박물관인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서, 중⋅고등학생들을 적용 대상으로 하여 4차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양한 질적 자료(마인드맵, 대면 인터뷰, 성찰일지, 설문지)를 수집, 분석하여 PBL에 따른 학습 역량과 지역사회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인식, 태도의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지역기반 박물관을 활용한 구체적인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비록 아직은 참여적 박물관으로서의 전환을 위한 인식과 환경이 미약하지만, 참여적 문화가 사회적, 시대적 요구인 만큼 박물관에서의 적극적 수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Currently museum is required to advance a step further from visitor-centered museum based upon constructivist emphasis on individual visitors of 90s, toward ‘participatory museum.’ in which museum, visitors, and communities are connec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partnership.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oncrete example of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in which a community based museum is closely collaborated with community as co-creators. For this program, Simon’s theory on participatory museum(5 stages and 4 categories of participatory museum) has been used as the program’s design principles, along with PBL as a specific learning model of the program. The participatory museum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t Hoeamsaji Museum of Yangju City as a community-based museum wh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participated during 4 sessions (9 hours total) of the program. The study, as the results, purposed to examine any changes in terms of attitude toward and perception about the community from the participant students. Diverse qualitative data (mind-map,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and survey)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Whereas participatory museum in reality has been rarely practiced or understood among museums and the public yet, this case study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participatory museum, inten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e acknowledgement and practice of the participatory museum as a way to reflect and accept current social needs and trends in the participatory 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박물관의 새로운 패러다임 : 지역기반 참여적 박물관
2. 지역기반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설계모형으로서 PBL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PBL에 의한 지역기반 참여적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 프로그램 설계
2. 프로그램 적용
Ⅴ. 결과분석
1. PBL에 따른 학습 역량 향상
2. 지역에 대한 참여적 인식과 태도 변화
3. 종합논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진선(Suh, Jinseon),강인애(Kang, Inae),최지혜(Choi, Jihye). (2019).지역기반 박물관에서의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박물관학보, (37), 105-138

MLA

서진선(Suh, Jinseon),강인애(Kang, Inae),최지혜(Choi, Jihye). "지역기반 박물관에서의 참여적 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박물관학보, .37(2019): 105-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