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천지역 근․현대 산업유산의 자원화와 활용 -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개막전시를 중심으로 -

이용수 392

영문명
Resource and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n In-cheon -Focusing on the Opening Exhibition of ‘Baedari Matchs Village Museum’-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우승하(Woo Seungha) 김희정(Kim Heejeong) 진춘일(Jin Choonil)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37호, 81~10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인천지역 근․현대 산업유산을 자원화하고 활용한 사례로 인천성냥을 제재로 한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개막전시인 ‘신도깨비불! 인천성냥공장’을 연구했다. 연구자는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을 조성해 성냥을 산업유산으로 자원화하는 과정과 박물관 개관 이후 전시를 활용한 양상을 연구하였다.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로 19에 위치한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은 2019년 3월 15일 우리나라 최초 성냥공장인 조선인촌주식회사(朝鮮燐寸株式會社)가 있던 터에 성냥이라는 산업유산을 주제로 한 마을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2019년 인천 민속문화의 해’ 사업의 하나로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동구, 국립민속박물관 세 기관이 협업으로 추진했는데, 근․현대 산업유산의 자원화와 활용에서 몇 가지 의미가 있는 사례이다.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의 조성과 개막전시를 통해 산업유산을 자원화하는 과정에서 검토하고 해결해야 했던 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은 자원화에 앞서 공론화를 통해 자원화 여부를 결정했어야 했다. 박물관의 주 대상이 되었던 ‘조선인촌주식회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성냥공장이라는 의미가 부여될 수 있으나, 이 공장은 일본인 자본가에 의해서 설립된 식민지 초기 산업유산으로 현재는 흔적조차 없이 터만 남아있다. 이는 자칫 과거 생활필수품이었던 ‘성냥’의 향수를 포장한 채 식민지근대화론과 연결될 수 있다. 둘째, 전시에 활용되는 건물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해야 했다. 실제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전시에 활용된 건축물은 1960년대 지어진 무허가 건물로 옛 동인천우체국 건물이다. 그래서 무허가 건물의 양성화 과정에서 예산 투입, 리모델링 등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개막을 여러 차례에 걸쳐 연기하는 등 지연을 거듭했다. 셋째, 박물관 명칭은 중의성이 없어야 한다.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은 주민 공모를 통해 정해진 박물관 명칭이다. 그러나 배다리, 성냥, 마을박물관이라는 각각의 이질적인 조합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넷째, 산업유산의 전제 조건인 지역 주민과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박물관을 개관하기까지 주민과의 소통은 없었으며 각자의 주장만 되풀이할 뿐 접점을 찾으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다섯째,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은 성냥 산업이 갖는 제국주의 이면을 드러내지 못했다. 인천은 개항(開港)과 연결되어 ‘근대’ 또는 ‘최초’ 등의 이미지로 새로운 문물을 만나는 공간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제국주의의 침탈이 내재 되어 있다. 개막전시에서는 조선인촌주식회사 여성 노동자에 의해서 진행된 인천 최초의 근대노동쟁의가 드러나지 않고 ‘성냥’이라는 감성에만 치우친 점이 있다.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조성과 개막전시 사례를 통해 볼 때, 산업유산을 박물관으로 자원화하기 위해서는 학술조사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박물관의 자원화를 추진해야 한다. 산업유산이 자원가치가 높더라도 그 산업유산에 관한 전문적인 조사․연구가 없다면, 단순히 근현대 산업유산에 관한 감성팔이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곧 그러한 감성팔이는 주민 또는 이용자에게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다. 산업유산에 관한 학술조사 연구를 통해서 노동자의 삶이나 그 산업유산의 위치를 정하는 등의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주민이 주체가 되어 산업유산을 자원화해야 한다. 산업유산이 위치한 공간과 지역 주민의 소통이 부족할 경우 지역민과의 마찰을 비롯하여 자원화의 효과를 온전하게 드러낼 수 없다. 따라서 기획 초기 단계에서부터 공청회나 포럼 등 토론을 비롯하여 각종 설명회를 거쳐 주민과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이 주도적으로 산업유산을 자원화해야 한다. 끝으로 이 사례를 통해 볼 때, 산업유산박물관은 지역문화 자원과 연계하고, 그 지역 주민의 평생교육 기관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산업유산 그 자원 하나하나에 의미부여도 중요하지만, 서로 연계해서 이용자에게 보다 많은 볼거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 지역 내에 다양한 평생교육 기관이 등장하고 있지만, 단순히 설립된 공간이 아니라 지역의 의미 있는 산업유산을 활용한 평생교육 기관으로 활용해 지역 주민이 소통하고 재교육을 하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ase of the opening exhibition ‘Baedari Match Village Museum’, which is based on the match, by the resource and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n In-cheon. The museum is located at 19, Geumgok-ro, Dong-gu, In-cheon, and opened on March 15, 2019. The museum is a village museum based on matches at the site of ‘Chosun Inchon Co., Ltd.’, Korea’s first match factory. This case was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three institution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Dong-gu, In-cheon, and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s one of the ‘2019 Year of Incheon Folk Culture’ project.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Baedari Match Village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museum targeted the first match factory, but the factory was an early colonial industrial heritage established by a Japanese capitalist, and now remains without trace of the factory. This can be connected with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by distorting the memory of matches, which was a necessity in the past. Colonial industrial heritage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sufficient public debate prior to resource. Second, the building used in the exhibition is an unlicensed building built in the 1960s and is the building the old ‘Dong-in-cheon Post Office’.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exhibition has been delayed several times due to insufficient review of budget input and remodeling. Third, it is the name of the museum determin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public opinion that it is the ‘Baedari Match Village Museum’. However,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in the name that can be used by those who use the museum as a disguise of the heterogeneous words: the Baedari, matches, and village museums. Fourt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industrial heritage. However, until the museum opened, there was no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only repetition of their arguments, and little effort to find contacts. Fifth, In-cheon is remembered as a space where new cultural objects are met with images such as ‘modern’ or ‘first’ connected to the open port, but imperialism is undermined. In the museum, however, the first modern labor disputes in Incheon, which were conducted by female workers at Chosun Inchon Co., Ltd., were not highlighted, but focused on the emotion of ‘matches’. In the case of the ‘Baedari Match Village Museum’, residents should be the subjects in order to resource industrial heritage based on academic research. Even though industrial heritage is of high value as a resource, it is simply a sentiment about modern industrial heritage without specialized research and research on it. Soon, such emotional arms are forced to be turned away from the residents or the users. Academic research studies on industrial heritage should support studies such as determining the worker’s life and the location of the industrial heritage. Residents should be the main actors to do resources of industrial heritage. Insu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locals and locals where industrial heritage is located cannot have full effect, including friction with local people. Therefore, the planner should form a consensus with the residents through discussions such as public hearings, forums, and various briefing sessions from the initial stage, and the residents should be centered on the basis of the resource of industrial heritage. Finally, in this case, in order to use the industrial heritage museum, it must be linked with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become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local people. Although it is important to give meaning to each of its resources, there must be more to see as each industrial heritage is linked. Recently, vario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emerged in the region, but

목차

Ⅰ. 서 론
Ⅱ.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전시 사례
Ⅲ.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자원화와 활용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승하(Woo Seungha),김희정(Kim Heejeong),진춘일(Jin Choonil). (2019).인천지역 근․현대 산업유산의 자원화와 활용 -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개막전시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37), 81-103

MLA

우승하(Woo Seungha),김희정(Kim Heejeong),진춘일(Jin Choonil). "인천지역 근․현대 산업유산의 자원화와 활용 - 배다리성냥마을박물관 개막전시를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37(2019): 81-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