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이용수 113

영문명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ing of Bully-Victims among Middle School Boys: Comparing with Bullies and Victim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이동형(Lee, Donghyung) 한정규(Han, Jeong-Gyu)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4호, 77~10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와 피해를 모두 경험한 남자 중학생들이 다양한 사회·정서적 기능 면에서 가해 혹은 피해만 경험한 남자 중학생들과 차이를 보이는지, 차이를 보인다면 양적 차이를 보이는지, 아니면 질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 남자 중학생 336명을 대상으로 Olweus 괴롭힘 질문지를 실시하여 4가지 괴롭힘 경험유형(가해, 피해, 가해-피해, 무경험) 집단을 구분한 후, 가해-피해 집단이 가해 집단 및 피해 집단에 비해 지난 2∼3개월 동안 힘의 불균형, 의도성, 지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을 유의하게 더 많이 경험하였는지, 사회적 위축(수줍음, 비사교성, 회피)과 사회적 고립을 포함한 사회적 기능 및 사회불안, 우울, 외로움(가족, 친구, 공동체 관계)을 포함한 정서적 기능에 있어서 양적 혹은 질적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가해-피해 중학생들은 가해 혹은 피해 중학생들에 비해 일부 형태의 괴롭힘을 보다 자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다양한 사회·정서적 기능 면에서는 유의한 양적 혹은 질적 차이의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괴롭힘 가해-피해 집단을 고유하게 예측하는 사회·정서적 기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질적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해-피해 청소년들이 가해 혹은 피해 청소년들과 질적으로 구분되는 독특한 집단이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며, 힘의 불균형에 의해 결정되는 괴롭힘 경험의 역동적 측면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bully-victims represent a unique subgroup that is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different from bullies or victims in terms of their social and emotional functions (SEFs). Method: Participants were 336 adolescent boys from 7 middles schools who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Olweus Bullying Questionnaire and were categorized into one of 4 bullying subgroups (i.e., bullies, victims, bully-victims, no involvement). This study examined if bully-victims, compared to bullies and victims, had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bulling and victimization, characterized by power imbalance, intentionality, and repeatedness, more frequently over the last 2-3 months and demonstrated more problems in various social (i.e., shyness, unsociability, avoidance, and isolation) and emotional (i.e., social anxiety, depression, loneliness) functioning. Results: MANOVAs indicated that bully-victim adolescents had experienced certain form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ore frequently but did not exhibited any evidence of qualitative or quantitative differences in terms of various SEFs. Further, the qualitative difference was not evidenced either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s there were no significant SEFs that uniquely predicted bully-victims. Conclusion: Our findings did not support the argument that bully-victim adolescents consist of an unique and qualitatively different subgroup, but rather implicated that their SEFs may be compromised by their relative power status in bulling dynamics. Othe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fully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형(Lee, Donghyung),한정규(Han, Jeong-Gyu). (2019).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교육혁신연구, 29 (4), 77-100

MLA

이동형(Lee, Donghyung),한정규(Han, Jeong-Gyu).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교육혁신연구, 29.4(2019): 77-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